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천로봇랜드 내년 3월 착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우선 기반시설 및 공익시설 공사, 민자유치 불투명

[아시아경제 김영빈 기자] 장기간 표류하던 인천로봇랜드 조성사업이 본격화한다.


인천시는 최근 지식경제부가 로봇랜드 조성실행계획을 승인함에 따라 내년 3월 기공식을 갖고 도로 등 기반시설 설치공사에 나설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국제도시 76만7286㎡에 들어서는 인천로봇랜드는 총사업비 6704억원(국비 595억원, 시비 595억원, 민자 5514억원)을 들여 로봇진흥시설, 유희시설, 부대시설을 갖추게 된다.


시는 우선 국·시비와 특수목적법인(SPC)인 인천로봇랜드(주)의 출자금 등으로 기반시설을 설치하고 로봇체험관, 로봇경기장 등 공익시설을 건립할 방침이다.

테마파크를 포함한 유희시설과 호텔 등 부대시설은 민자유치를 통해 단계별로 추진할 계획이다.


로봇랜드 중앙에는 높이 111m의 ‘로봇 태권브이 타워’를 세워 랜드마크로 삼을 예정이다.


시는 당초 연내 착공을 목표로 했지만 지식경제부는 이 부지에 아시아레포파크(주)가 테마형 레저스포츠단지 사업시행자로 지정돼 있어 사업권이 이중으로 설정됐고 로봇랜드에 상주인구를 유발하는 주상복합 건립은 불가하다는 이유로 보완을 요구해 승인이 늦어졌다.


시는 이에 따라 지난 6월 아시아레포파크에 정산금 60억원을 지급하고 청라국제도시 사업시행자인 LH공사와 판게아-해원에스티 컨소시엄이 맺은 테마형 레저스포츠단지 사업협약을 해지하면서 사업시행자를 인천시로 단일화했다.


또 주상복합 건립계획은 일단 포기하고 해당 부지는 유보지로 남겨뒀다.


사업기간도 당초 2014년에서 공익시설은 2015년, 민자유치시설은 2016년으로 연기했다.


이처럼 인천로봇랜드는 걸림돌을 제거하고 정부 승인을 받아 착공을 앞두고 있으나 향후 민자유치가 극히 불투명하다는 난제를 안고 있다.


시 관계자는 “우선 기반시설과 공익시설에 착공하고 민자유치에 적극 나서겠다‘며” “공사가 본격화하면 사업의 불확실성이 사라져 민자유치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영빈 기자 jalbin2@




김영빈 기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