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민심 착각했다" 참패에 대한 진보의 반성

시계아이콘01분 30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진보진영·사회단체 향한 대선패배 자성론 잇따라···정책 비전 요구도 커져

"민심 착각했다" 참패에 대한 진보의 반성
AD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대선에서) 참패한 이유에 대해 민주당은 물론 진보진영과 시민사회단체까지도 철저한 검증과 반성이 있어야 한다.(@wand*****)"

제18대 대통령선거 이후 민주진보진영 내 자성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패배의 충격에서 벗어나 스스로 성찰하고 국민의 신뢰와 지지를 받을 수 있게 거듭나자는 움직임이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네티즌이나 시민사회 단체 사이에선 우선 52%의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한 뼈아픈 실책에 대한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김대호 사회디자인연구소 소장은 민주진영이 '잘못된 프레임'을 제시한 것을 지적했다. 이들이 내세운 '민주 대 독재', '진보세력 대 수구냉전세력' 등의 구도는 상대방을 악으로 규정해 대중들에게 공포와 반감을 조장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도 보수세력을 결집시키는 효과만 낳았다.

김 소장은 "이런 프레임은 1980년대 운동권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일 뿐만 아니라 대중들의 정서와도 거리가 멀다"며 "정작 대중들의 핵심은 '먹고 살기 힘들다'는 데 있는데 차별화된 비전과 정책도 제시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또 '조용한 다수'를 간과한 것도 잘못이라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표면적으로 드러나기 쉬운 SNS 등을 통한 여론층과 2030세대들에 집중한 나머지 50%의 유권자를 놓쳤다는 것이다. TV·신문·라디오 등 올드매체의 영향력도 과소평가했다. 이재근 참여연대 시민감시1팀장은 "민주당이나 진보진영에서는 침묵하는 다수의 유권자들, 즉 SNS나 스마트폰 등의 흐름에 동참하지 않는 유권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제대로 보지 못했다"며 "인터넷 여론에서 앞서 있다는 것에 자만하고 착시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이는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의 40%를 차지하는 5060세대를 끌어안고 가기 위한 정책적 고민이 부족했다는 반성으로 이어진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50대 이상의 유권자들이 원하는 정책에 대해서 고민하고 차별성을 보여줘야 하는데 거기에 대해서 실패했다"며 "말로는 '소통'을 해야한다고 얘기하면서 결국 '소통'에 실패한 것은 민주진영"이라고 말했다.


네티즌도 대선 결과에 대해 다양한 분석과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트위터를 통해 한 네티즌(@csi*****)은 "심판론 프레임으로는 승리하지 못한다. 지난 4.11총선, 이번 대선에서도 여실히 증명됐다. 민주진영이 살 길은 정책연구개발 뿐이다. 국민들의 피부에 와닿는 정책을 내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네티즌(@vo32****)은 "반성이라는 단어를 모른 채 남 탓, 언론 탓만 하고 있는 한 패배는 계속된다"고 꼬집었다.


대선 결과를 냉정하게 분석하기 위한 논의의 자리도 잇달아 열리고 있다. 21일 '복지국가연구회'에서 '18대 대선 평가와 향후 전망'에 대한 토론이 열리는 등 대선 결과에 대한 반성과 대안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전개되고 있다. 조국 서울대 교수는 트위터를 통해 "당분간 민주진보진영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3.53% 차이의 의미를 되새기며 성찰하고 혁신해야 합니다. 상처를 핥으며 공력을 쌓읍시다. 무너져선 안됩니다"라고 전했다.


일부 시민·사회단체는 박근혜 당선인에 대한 당부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새사회연대는 "이명박 정권에서 자행된 국가기관의 일탈과 부정·비리, 권력형 부패는 철저히 책임을 묻고 엄단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박 당선인은 쌍용차 노동자, 밀양송전탑, 제주 강정마을 등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듣고 그들을 위로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한국투명성기구는 "우리사회의 관행화된 부패해결의 청사진을 제시해야 하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민서 기자 summ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