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이 발사한 장거리미사일의 잔해로 보이는 물체를 발견했다. 1단 추진체의 잔해로 연료통으로 파악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13일 "어제 오전 11시 29분께 북한 장거리 미사일의 1단 추진체 연료통으로 보이는 잔해를 군산 서방 160㎞ 해상에서 발견해 세종대왕함의 보트가 나가서 해당 잔해를 줄로 연결해놓았다"며 "당일 오후 16시 7분쯤 수심 80M 정도에 가라앉아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추진체 잔해에 한글로 '하'자가 써 있어 은하-3호의 파편으로 확인했다"며 "진해에 있는 (구조함인) 청해진함이 현장으로 출동해 오늘 오후 4시부터 조류가 바뀌면 인양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해진함에는 해군특수부대인 해난구조대(SSU) 소속 심해 잠수사와 잠수사 이송장치, 심해잠수구조정(DSRV) 등이 갖춰져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해역은 0.5노트의 유속이 흐르고 있으며 드라이슈트를 입은 심해잠수사가 바다밑으로 들어가 체인으로 묶은 뒤 인양하게 된다.
인양된 잔해는 평택2함대로 옮겨져 군당국이 본격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이번에 해군이 발견한 추진체 잔해는 길이만 10 m, 둘레만 1.5~1.6m 크기여서 인양에 성공하면 북한의 로켓 기술 분석에 유용한 재료가 될 것으로 군 당국은 기대하고 있다. 추진체 잔해에는 한글로 '하'자가 써 있어 은하-3호의 파편으로 군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지난 4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때도 우리 군은 잔해 수거 및 탐색 작전을 벌였으나 로켓이 20여 조각으로 산산이 조각나면서 넓은 범위로 떨어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해군은 전날 오전 북한이 장거리 로켓을 발사한 직후 잔해 수거 및 탐색 작전에돌입했다.
은하-3호의 1단 추진체는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로부터 429㎞, 변산반도 서방 138㎞ 해상에 떨어졌다. 범위는 가로 38㎞, 세로 83㎞의 비교적 넓은 구역으로 관측됐다. 페어링은 동창리로부터 656㎞, 제주도 서방 86㎞ 해상에 낙하했으며 범위는 가로 99㎞, 세로 138㎞ 구역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군은 해상 및 해저 지뢰를 전문으로 탐지하는 소해함(기뢰탐색함) 4척을 현장에 파견했다. 이 함정에는 수중의 금속물을 탐지하는 '사이드 스캔 소나'가 탑재돼 있다.
음파탐지기를 갖춘 초계함 등 함정 10여 척도 바닷속 금속물질 탐지에 나섰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공해상에 떨어진 물체는 먼저 찾는 쪽에서 점유 권한을 행사할 수 있지만 원소유자가 반환을 요청하면 수거비용을 받는 대신 반환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국방부 관계자는 "(이번에 발사한 로켓을) 적국의 무기(미사일)로 보고 있고, 이번 발사 행위가 국제법상 유엔 결의안 1874호 위반이기 때문에 돌려주지 않아도 된다"며 반환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