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모호한 뉴타운 출구… 대안찾기는 활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21초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마을공동체 등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이 서울시내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 취임 후 기존 공공주도의 전면철거형 정비사업이 저층주거지 보전·관리정책으로 속속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매몰비용 재원마련으로 뉴타운 출구전략이 난관에 처한 반면 대안사업들은 본격화되는 모습이다. 내년부터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사업취소지가 나올 경우 바로 적용해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려는 서울시의 의지도 담겨있다.

모호한 뉴타운 출구… 대안찾기는 활발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지로 선정된 성북구 정릉등 372일대 / 서울시
AD

30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지구단위계획 수립용역’에 들어갔다. 은평구 응암동, 동대문구 휘경동 등이 거점이며 ▲영등포구 대림동 ▲도봉구 도봉동 ▲금천구 시흥동 ▲구로구 구로동 ▲성북구 정릉동 ▲은평구 신사동 ▲강북구 미아동 ▲마포구 성산동 ▲송파구 잠실동 ▲서대문구 홍제동 등이 포함돼 있다. 향후 해제될 정비(예정)구역도 모두 포함한다는게 서울시 방침으로 주민참여형 재생사업 후보지가 전 자치구로 확대된 셈이다.


이번 용역은 지역특성을 살린 주거환경개선안이 핵심 골자다. 마을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 지역주민에게 적합한 사업모델을 발굴해 지역사회 등과 연계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특히 서울시는 주민의견 반영을 위해 각 구역별로 용역을 따로 추진하도록 했다.

실제 이번 대상지로 선정된 동대문구 휘경동 268일대(2만6212㎡)와 성북구 정릉등 372일대(1만5500㎡)의 경우 지역특성에 맞춘 계획안이 수립된다. 휘경동의 경우 대학생 거주지와 봉제산업, 배봉산 등의 주변 여건을 감안한 마을기업이 조성되고 정릉동은 한옥밀집지역 특성을 감안한 한옥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했다. 현재 한옥 주민커뮤니티공간과 한옥체험 및 게스트하우스 등이 논의 중으로 인근 북한산 지역을 연결한 특성화 마을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은평구 응암동 30일대(1만5548㎡)와 신사동 237일대(4만8000㎡)도 마찬가지다. 기존에 추진된 경관사업을 연동한 특성화 마을 조성과 학생동아리 및 상공인 모임 등을 모색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금천구 시흥동과 구로구 구로동은 지난 27일 사업설명회를 갖고 용역업체 선정을 위한 마무리 작업에 들어갔다. 마을공동체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은 뉴타운 해제로 불거질 주민 불만에 해결책을 제시한 업체를 우선 지정한 상태다.


서울시가 개최하는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공모전’과 ‘주민사례발표회’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주민 스스로 계획안을 수립하도록 해 갈등요소를 최소화하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강동구 서원마을, 성북구 선유골을 비롯해 뉴타운 존치지역인 흑석동, 길음동, 시흥동 등에서 시범사업이 진행 중으로 이번 용역 대상지로 선정된 응암동, 휘경동의 시뮬레이션안은 이미 마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주민참여형 재생사업과 괘를 같이하는 ‘저층주거지 보전·관리개발’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달초 진행된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 ‘백사마을’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수립은 구체안을 갖고자 지난 26일 재공고에 들어갔다. 원거주민의 주거권을 보장한 주거규모·공유공간계획은 물론 기반시설·조경계획 연구도 함께 진행한다는게 핵심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흥동과 구로동 등에서 진행 중인 주민참여형 재생사업은 올해안에 가이드라인을 모두 마련해 뉴타운 출구전략에 대비할 것”이라며 “노후주거지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취락지 재생사업은 주민 재정착에 초점을 맞춰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