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韓 기업경영환경 세계 8위..美·獨·日보다도 앞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백종민 기자] 한국의 기업 경영환경이 주요 50개국가운데 8위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아시아 국가 가운데서는 싱가포르에 이어 2위며 미국과 독일, 일본에 비해서도 앞선 결과다.

세계적인 컨설팅업체인 '그랜트 소튼 인터내셔널'(Grant Thornton International)은 10일(현지시간) '글로벌 역동성지수'(Global Dynamism Index)를 활용해 각국의 기업 경영환경을 조사한 뒤 이 같은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1위는 싱가포르가 차지했다. 이어 핀란드, 스웨덴, 이스라엘, 호주, 스위스, 한국, 독일, 미국 등 순이었다. 대만과 중국은 각각 13위와 20위를 기록했으며 일본은 26위에 그쳤다.

한국은 5개 카테고리 가운데 과학ㆍ기술 부문의 지수가 이스라엘, 핀란드, 스웨덴에 이어 4위를 차지했고 노동ㆍ인적자본 부문에서도 6위에 올랐다.


노동ㆍ인적자본 부문과 관련해서는 낮은 실업률(3.4%)과 높은 교육수준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그러나 기업경영과 경제성장성, 금융환경의 역동성 부문에서는 10위권 내에 들지 못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비즈니스 구조는 10대 '재벌'이 시장자본(market capitalization)의 55%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며 "삼성과 현대 등 이들 기업은 기술 혁신의 선두권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주는 수직 계열화된 대규모 납품망을 보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보고서는 1위를 차지한 싱가포르에 대해서는 "동-서양을 연결하는 관문으로 완벽하게 자리를 잡았으며, 비즈니스와 경제의 성장전망도 개방적이고 투명한 금융환경과 고학력 노동력에 힘입어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역동적인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최적의 환경 수준을 나타내는 이 역동성 지수는 ▲ 비즈니스운영환경 ▲ 경제성장성 ▲ 과학ㆍ기술 ▲ 노동ㆍ인적자본 ▲ 금융환경 등 5가지 카테고리에서 뽑아낸 22개 지표를 활용해 측정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이들 지표의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해 글로벌 기업의 고위임원 406명을 대상으로 별도의 설문조사도 실시했다.




백종민 기자 cinq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