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이하 <광해>)는 이병헌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몸치장을 마치고 객석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그는 왕이다. 한마디 대사도 없지만 이병헌은 피로하고 지친, 그러나 온순하지 않은 광해의 들끓는 심중을 전달한다. 분명 대단한 테크닉이건만, 이병헌에게 이것은 그다지 새로운 일이 아니다. 영화 <달콤한 인생>에서부터 <악마를 보았다>까지, 어느 순간 이병헌은 소리 지르거나 몸부림치지 않고 복잡한 마음을 꾹꾹 눌러 담아내는 데에는 탁월한 재능을 보여 왔다. 높아진 언성은 리듬을 타듯 금방 제 자리로 돌아왔고, 얼굴보다 눈빛이 분주했지만 그 억제된 움직임은 이병헌을 한층 서늘하고 어두운 인물로 만들어 냈다. 영화 <지. 아이. 조>에서도 이병헌은 악다구니를 하거나 포효하는 법이 없었다. 완벽하게 재단된 옷처럼, 그는 우아하게 온화하지 않은 권위와 투명하지 않은 의지를 그려낸다. 그가 연기한 인물들이 선과 악의 경계를 넘어서 언제나 매력적이었던 것은 그런 이유에서였다. 완전히 발산하지 않기에 그의 선의는 애처롭고, 그의 악의는 유혹적이다. 혼돈을 연기하는 배우는 관객을 혼란스럽게 사로잡았다.
이병헌의 과거와 현재가 살아 움직이는 <광해>
그러나 <광해>에서 그는 자신의 특기를 이내 접어 둔다. 임금님보다 왕이라는 호칭이 어울리는 광해를 대신한 하선은 지난 10여년간 이병헌이 쌓아 온 그의 방식을 정면에서 배반하는 인물이다. 엉덩이를 흔들며 춤을 추고 음란한 농담을 주워섬기는 광대의 모습에서부터 식탐을 감추지 않으며, 심지어 생리현상에 충실한 그의 모습은 낯설도록 여유롭다. 스스로는 “SBS <해피투게더>에서 바보스러울 만큼 백치미 흐르는 캐릭터를”연기 한 적 있다고 세간의 놀라움에 의아함을 표하지만, 그의 연기는 결코 고루한 방식의 반복 재생이 아니었다. 그는 있는 그대로 인물을 표현하며, 객석은 그가 보여주는 대로 믿으며 이야기를 따라간다. 그리고 그것은 꼭 넘치지 않을 만큼 하선에게 더해진 우아함 덕분이었다. 의심의 여지없는 백성에게 왕의 자질에 대한 의혹을 품지 않게 된 것은 완벽한 광대의 모습이 아니라 완전히 자신만의 광대를 만들어 낸 배우의 힘 때문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소재에서나 진행에서나 유사한 이야기를 떠올리기 쉬운 약점을 가진 <광해>가 지금의 몰입도를 확보할 수 있었던 것 역시 이야기의 거의 전부나 다름없는 하선의 마음이 객석에 온전히 전달된 덕분이다.
그래서 이병헌이 두 명의 인물을 연기했다는 사실 자체는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닐지도 모른다. 그가 놀라움을 자아내는 것은 지금의 이병헌을 이식한 광해와 오래 전의 이병헌을 소환한 하선을 동시에 구현했기 때문이다. 색을 덧칠하면 점점 검은색에 가까워지듯, 경험의 더깨는 현재의 강력함을 전재하기 마련이다. <광해>의 추창민 감독이 처음 이병헌의 캐스팅을 확신하지 못했던 것은 바로 그런 관습적 변화에 대한 염려가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더욱이 “틀린 연기보다 확신 없이 애매한 연기가 싫다”고 할 정도로 빈틈없이 인물을 소화하는 이병헌의 태도는 허허실실의 코미디와 판타지에 가까운 드라마를 설득해야 하는 영화의 온도와 언뜻 어긋나 보이는 것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병헌의 확신은 카메라 앞에서 비로소 완성되는 것이었으며, 그는 확신을 갖기 위해 감독과 끊임없이 이야기를 하고 “때로는 전혀 준비하지 않은 새로운 연기를 해 버리기도 하는” 동물적인 감각을 동원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건강한 미소를 가진 선량한 청년 이병헌의 모습이 다시 살아나는 순간, 대중은 그가 그동안 멀어진 것이 아니라 넓어진 것임을 깨닫게 되었다.
‘다음 작품’은 없다, 언제나 ‘새 작품’만이 있을 뿐
그래서 <광해>는 영화 안에서는 물론, 밖에서도 멜로의 법칙으로 소구하는 작품이다. 중전은 물론, 궁의 인물들을 순식간에 자신의 편으로 만들어 가는 하선에게서는 치밀함이나 약삭빠른 기운을 찾아 볼 수 없다. 그저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려, 듣고 싶어할 이야기를 들려주는 하선은 대부분의 인물과 짧은 로맨스를 나누듯 교감하고 가까워진다. 드디어 무거운 고뇌의 그늘을 내려놓고 울고 웃는 가장 보통의 감정을 나누게 된 이병헌이 관객과 만나는 순간 역시 다르지 않다. 작품 선택에 전략을 마련하지 않는다는 그에게 적절한 ‘다음 작품’은 없으며, 언제나 그에게 영화란 ‘새 작품’의 얼굴로 찾아온다. 그리고 새로운 사람에게 빠져들 듯, 이병헌은 출발선에서부터 작품과 인물을 입어낸다. 그의 지난 영화와, 지난 영화에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를 둘러싼 이야기들은 극장 안에서 힘을 잃는다. 오직 영화 속의 이병헌만이 관객을 만나고, 설득하고, 사로잡을 뿐이다. 용상에 오른 광대가 사람들의 마음을 얻은 것은 결국 왕의 얼굴과 목소리가 아니라 광대의 진심 때문이었다. 이 멜로가 오랫동안 그치지 않을 것 같은 예감은 그래서다.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0 아시아 글. 윤희성 nine@
10 아시아 편집. 이지혜 seve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