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자외선차단제 100% 활용법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태양에 맞서는 것은 최소한 피부건강을 생각하면 바보짓이다. 무조건 피하는 게 상책이다. 햇볕을 쬐지 말라는 뜻은 아니다. 자외선이 당신의 피부를 노화시키고 심하면 암을 발생시킬 여지를 최대한 줄이는 방식으로 햇살을 즐기자는 것이다. 그런데 자외선 차단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들면 '잘 발라주면 되지 더 이상 뭘 더 알아야 하지'라는 시큰둥한 반응이 나온다. 과연 그럴까. 생각보다 잘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 많다.
◆자외선에 대한 기본 상식 'ABC'
자외선(UV, ultraviolet)은 3종류가 있다. 파장에 따라 UVA, UVB, UVC로 나뉜다. 자외선을 쬐면 피부가 빨갛게 달아오르고 화끈거리는데 UVB 때문이다. UVB는 파장을 짧지만 에너지가 크다. 피부표면에 염증을 동반한 '썬번(sunburn)' 현상을 일으키는 주범이다. 자외선차단제는 기본적으로 UVB를 막기 위해 만들어졌다. SPF(Sun Protection Factor)라는 자외선차단 효과의 기준은 바로 UVB에 대한 방어정도를 말한다.
UVA는 자외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에너지는 적지만 파장이 길다. 피부 속 깊숙이 도달해 피부 조직에 영향을 준다. 피부노화를 일으킨다. SPF 수치 옆에 붙은 '+' 표시가 UVA에 대한 보호효과를 의미한다. SPF는 숫자가 클수록, +는 개수가 많을수록 보호효과가 크다는 의미다.
UVC에 대해선 잊자. 살균에 쓰이는 자외선으로 피부암의 원인이지만 대부분 오존층에 흡수된다. 오존층 파괴로 UVC도 걱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다. A와 B에 신경 쓰는 것만 해도 머리가 복잡하다.
◆비싼 제품 연연말고 '잘 바르기' 신경쓰자
얼마나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는가에 따라 SPF 수치를 골라 쓰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수치가 높을수록 보호효과가 크다. 하지만 이 부분에 너무 많은 돈을 쓰거나 높은 수치에 연연할 필요는 없다.
그보다 중요한 것은 UVB와 UVA를 동시에 막아주는 제품을 고르는 일이다. SPF는 UVB를, PA(Protection Factor of UVA)는 UVA에 대한 효과다. 제품에 'SPF30/PA++'와 같이 두 가지 모두를 표시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게 좋다.
우리나라 상황에서 SPF는 15나 30 정도면 충분하다. SPF15 제품을 '잘' 바르면 자외선으로 인해 피부가 빨개지는 시간을 15배 늦춰주는 것이고 30은 30배다. 한편 SPF15는 UVB를 93% 막아주는데 30은 97%, 45는 98%다. SPF 수치가 효과 측면에서 큰 차이를 주는 건 아니란 의미다. 또 SPF가 아무리 높아도 자외선을 100% 막아주지 못한다.
PA의 경우 +가 1개 있으면 바르지 않을 때보다 UVA로부터 2∼4배 보호된다는 것이고, ++라면 4∼8배, +++는 8배 이상 보호된다는 의미다.
◆권장량 바르는 인구 절반도 안돼
자외선 보호효과가 강한 차단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실제 해변가와 같이 햇빛이 강하고 노출 시간이 긴 경우엔 높은 SPF 지수를 선택하는 게 유리하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올바른 사용법이다. 미국 피부과학회 연구에 따르면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양을 지켜 바르는 사람은 25∼50% 수준이라고 한다. 대부분 생각보다 '적게' 바르는 경우가 많다.
엄지손톱만큼으로 얼굴 전체를 바르는 게 좋다. 온몸에 바른다면 500원짜리 동전 두 개 정도를 써야 한다. 차단제가 막을 형성에 제대로 된 보호효과를 내는 데 최소 15분 정도 걸리므로, 외출 30분 전쯤에 미리 발라주는 것도 중요하다. SPF 지수를 과신해 한 번 바르고 말 것이 아니라, 2시간 정도마다 덧발라 주는 것도 잊으면 안 된다.
자료 : 대한피부과의사회, 아름다운나라피부과
신범수 기자 answe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