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서울시가 시내버스 파업을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한다. 지하철 증회와 막차 연장, 마을버스도 첫·막차 연장 등 운영기관과 협의하고 택시 부제(部制)와 승용차 요일제를 해제, 등교·출근 시간을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14일 "서울시는 가급적 파업에 이르지 않고 16일 임금협상 최종 조정에서 타결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해 노사 양측을 설득해 나갈 것이며,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비상수송대책 준비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면서 "시민여러분의 이해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윤 본부장은 이어 "서울시는 서울 버스사업조합과 버스노동조합 간의 원만한 임금협상을 이끌어 내기 위해 노사를 지속적으로 설득하는 한편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수립, 가동에 들어간다"고 말했다.
현재 서울버스 사용자측인 사업조합과 노조는 올 임금협상을 지속 협상해 왔으나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결렬됐고, 노조 측의 요구에 의해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임금협상 조정이 계류 중이다. 노조는 임금 9.5%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사업조합은 지난해 수준으로 동결하고자 하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오는 16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요금조정안이 제시되더라도 노사 간 입장차가 커 수용되지 않고 파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 지하철 증회, 출근시간 연장 등 비상대책을 가동할 방침이다.
시는 우선 지하철은 증회 운행 및 막차시간 연장, 출퇴근시간을 기존 시간에서 연장하고, 마을버스 첫·막차 시간 연장도 검토·협의할 방침이다. 또 자치구별로 전세버스 등을 임차해 출퇴근 시간에 ‘지하철 연계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더불어 시는 파업대비 일시적으로 초·중·고등학생 등교시간과 공공기관·공기업 및 대기업 출근시간을 연장하며, ‘개인택시 부제 및 승용차 요일제 해제’ 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이같은 대책을 가지고 시는 시내버스 파업사태 대비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4시간 가동하고 파업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해 비상·예비차량이 원활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난 2월 25일 시내버스 재정적자를 개선하기 위해 기본요금 900원에서 1050원으로 150원 인상한바 있지만, 서울시가 시내버스에 지원할 수 있는 재정은 현재 3016억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지난 2004년 준공영제 시행 이후, 서울 시내버스 운수종사자의 임금은 이전 대비 약 50% 인상됐으며 현재 마을버스나 택시 운수직종이나 타 광역자치단체와 비교해 월등하게 높은 수준이다.
한편 서울시에 따르면 사업조합은 그동안 시의 열악한 재정지원 여건을 고려해 경영어려움을 개선을 위한 자구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왔다. 사업조합은 지난 3월 서울시와 표준운송원가 협상을 통해 총 253억원(8.3% 감액)의 운송원가 경감에 동참한 바 있다. 이중 사업자 이윤 254억원(37%), 임원인건비 12억원(12%), 일반경비 39억원(10%) 등을 감액됐다.
더불어 사업조합은 지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 새로운 교통수단 도입 등으로 운행차량 조정 필요가 발생하면 상용차량을 예비차량으로 전환해 연간 376억원(총 320대)을 절감했으며, 예비차량 총 150대를 감차해 연간 52억원의 운송비용을 절감했다. 또 매년 경유 공동구매를 통해 연료비 63억원을, 타이어 공동구매를 통해 4억원을 절감해 연간 총 67억원의 원가를 절감하고 있다.
오진희 기자 valer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