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한상의·중진공, '中企 FTA 활용' 입체지원키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한미 FTA가 발효됨에 따라 FTA 활용의 극대화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면서 대한상공회의소와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경제단체 및 지원기관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1일 오전 서울 상의회관에서 열린 제10차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전국 70개 지역상공회의소망을 가동해 FTA 활용 시 자금, 인력, 정보 등이 취약한 지역중소기업들을 적극 발굴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세계 190여개국에 있는 상공회의소와도 협력할 것”이라면서 “특히 FTA 체결국 상공회의소와의 사절단 교환, 양국기업간 합동회의 등을 통해 비즈니스 교류의 장을 적극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부산, 대구, 인천 등 9개 지방상공회의소에 설치된 FTA 활용지원센터를 통해 원산지인증·관리 컨설팅 기능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최근 한미 FTA 발효와 함께 원산지인증에 대한 애로를 호소하는 기업이 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는 취지다.

이 외에도 대한상의는 일본상의와 협력해 지진피해와 전략난으로 기업활동에 불안감을 느끼는 일본기업을 상대로 투자유치활동을 하는 한편 중국과 베트남지역 진출기업협의회를 통해 FTA시대 국내유턴을 희망하는 기업 지원에도 나설 계획이다.


한편 중소기업진흥공단도 이날 발표를 통해 다양한 중소기업 FTA 지원방안을 내놓았다.


중진공은 업종별 전문가에 의한 중소기업 위기관리 역량진단을 통하여 기업의 애로를 파악하고, 자금, 연수, 마케팅, R&D 등 기존의 정책지원과 함께 FTA활용지원과 FTA피해지원을 연계하여 확대지원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가 주관하고, 중진공과 국제원산지정보원이 공동수행하는 FTA닥터 컨설팅사업은 대표적인 FTA활용사업이다. 관세사 회계사 2인1조 전문팀을 현장에 파견해 복잡하고 난이도가 높은 HS품목분류 확인, 원산지증명서 발급지원을 위한 세번변경기준과 부가가치기준 충족여부 확인 등 집중컨설팅으로 중소기업의 FTA업무처리 한계극복을 지원하게 된다.


박종남 대한상공회의소 상무는 “상의는 작년 한해에만 5만5000여건의 원산지증명서를 발급하는 등 해외무역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면서 “향후에도 해외시장 진출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많은 중소기업들을 위해 최대한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