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구조조정에 비보까지.." 저축銀 업계 '침통'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김학헌 에이스저축은행 회장의 자살 소식에 저축은행 업계 및 금융당국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번 사태가 부실 저축은행 정리에 대한 당국의 강한 의지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는 게 업계 관측이지만, 일각에서는 장기화된 구조조정이 업계의 피로도를 지나치게 높이고 있다는 불만도 제기된다.


13일 저축은행비리 합동수사단(단장 권익환 부장검사)에 따르면 김 회장은 전날 오전 서울 서초동 팔래스호텔 객실에서 수면제를 복용한 뒤 쓰러져, 인근 서울성모병원에 긴급 후송됐지만 숨졌다. 지난해 9월 압수수색 도중 투신한 제일2상호저축은행 정구행 행장, 11월 재소환 통보를 받은 뒤 목을 매 숨진 토마토2저축은행의 한 임원에 이어 업계 세 번째 비보다.

수사단은 '강압수사' 의혹에 대해서는 부인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김 회장에게 소환 통보를 했지만 집안 사정을 이유로 수차례 연기됐으며, 이날 오전에야 검찰 출석 후 조사할 예정이었다는 설명이다.


업계에서는 김 회장이 지난 2005년부터 고양버스터미널 시행사에 7200억원을 불법대출해줬다는 혐의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미회수 금액만 6900억원에 달한다. 에이스저축은행은 또한 분식회계 및 금감원 검사역을 대상으로 한 로비·청탁 혐의도 조사받고 있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부실대출 사실을 정확히 알지 못했다"고 소명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지역 유지로 알려진 김 회장은 당진 소재의 폐기물 처리업체 원광인바이로텍을 운영하다가 지난 2004년 에이스저축은행을 인수해 대주주 자리에 올랐다.


김 회장이 불법대출에 어느 정도 관여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김 회장이 경영 일체를 경영진에게 일임하고 크게 관여하지는 않았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전하는가 하면, 또 다른 관계자는 "김 회장이 사태를 무마하기 위해 포천에 소유하고 있던 골프장 매각을 최근까지도 급하게 진행하려 했으나 불발된 것으로 안다"고 말하는 등 의견은 분분하다.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지난 1년 간 고강도로 진행중인 구조조정과 잇딴 비보에 침통한 분위기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이번 사태는 충격적이지만, 이를 이유로 금융당국이나 조사단의 칼날이 무뎌지거나 완화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업계의 자정노력이 절실한 것은 사실이지만, 중복되고 장기화된 검사를 거치면서 집중 관리감독 대상에서 벗어난 저축은행들 마저 영업이 힘든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지난해부터 저축은행업계의 새로운 먹거리로 거론된 할부금융업 등은 자격 요건이라던가 기존 시장질서를 감안하면 사실상 진출이 어렵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당국이 지난 2010년 1월 전일저축은행에 대한 영업정지 이후부터 사실상 규제 일변도로 가고 있다"면서 "관리감독 강화와 영업규제 완화라는 조화가 이뤄져야 저축은행업계가 살아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현정 기자 alphag@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