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민주통합, 햇볕정책 불씨 살리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이른바 '포스트 김정일 정국'을 두고 민주통합당이 햇볕정책의 불씨를 되살리고 있다. 민주당은 94년 김정일 사망 당시 북한이 '통미봉남(通美封南)'을 한 전례가 있다며 정부가 이런 전철을 밟아선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색된 남북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선 북한과의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조문 문제를 두고서는 민간 조문단 파견을 거절한 한나라당과 정부에 대한 비판적 기조를 이어가면서 시민 종교계 의견을 수렴해 민족화해협력국민협의회(민화협) 중심으로 민간 조문단 파견 대안으로 내세웠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22일 국회에서 열린 고위정책회의에서 "김정일 사망 하루 뒤 미국은 북한과 접촉해서 식량지원 문제를 논의하는 등 주변국가들은 우리보다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는 남북 대화를 제안할 수 있는 특단의 기회를 놓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 사태를 잘못 관리하면 94년 김정일 사망 때 통미 봉남 사태를 야기한 최악의 결과를 나올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노무현 재단 등 시민단체도 조문도 제한해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

국회 차원 조문을 거절한 박근혜 비대위원장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 "국회 나름의 할일도 있다"면서 "남북관계를 위해서나 북한의 안정을 위해서 필요한 일인데 왜 그렇게 거절을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쓴소리 했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국가 경영에 있어서 어리숙하고 미숙한 결정"이라고 일침을 놓았다. 노영민 원내부수석은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이념적 성향도 MB보다 전혀 나을게 없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남북관계 재편을 요구하는 여론이 높은 상황에서 남북화해의 '햇볕정책' 원조이라는 점을 부각시켜 정국 주도권을 쥐겠다는 심산이다.


조문문제에 대해서 정부의 조의 표명에는 환영했지만, 민간 조문단의 제한적 허용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기조를 이어나가는 강온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조문 역풍'을 고려해 당 차원에서의 조문단 파견은 유보하기로 했다. 대신 민화협 중심의 조문단이 꾸려지면 당 인사를 포함시키는 방안을 염두중이다.


아울러 민주당은 식량 지원 등 인도적 차원의 대북 지원을 강조하기도 했다. 최인기 최고위원은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과의 대화의 문을 여는 첫 단추로 식량 지원 문제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서 "우리가 대화의 문을 주도적으로 열지 않으면 외세의 개입을 불러올 수 있다"고 말했다.  




김승미 기자 askm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