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판 DHL, FedEX 나온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7초

물류화 선진화에 힘 싣는다

[아시아경제 진희정 기자]정부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물류기업을 선정해 지원키로 했다. DHL, UPS, FedEX와 같은 세계적 수준의 물류기업 육성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국토해양부는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물류기업을 선정하여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내용을 담은 '글로벌 물류기업의 선정 및 육성에 관한 규정'을 시행한다고 20일 밝혔다.

대표적인 서비스 산업으로 크고 있는 국내 물류산업의 경우 지난 2009년 기준으로 기업 수 16만여개, 종사자는 약 55만명, 매출액은 총 75조원에 이르며 연 평균 9%의 고성장을 유지하고 있다. 세계 시장의 경우 지난해 국내 GDP의 약 3배, 세계 반도체 시장의 10배 이상 규모를 기록하며 성장세를 기록중이다.


특히 최근 국내 무역규모는 1조원을 돌파하며 세계 9번째를 기록하고 있다. 수출규모도 세계 7위, 무역량 세계 9위 등 무역대국으로서의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실정. 이에 반해 국내 물류산업의 수준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실례로 세계 5~6위권의 해운·항공산업과 인천공항, 부산항과 같은 세계적 규모의 물류인프라를 보유했음에도 지난해 세계은행이 발표한 물류경쟁력 순위는 155개국 중 23위를 기록했다.

DHL과 같은 글로벌 기업과 비교할 때도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걸음마 단계이다. 정부가 지난 2006년부터 종합물류기업 인증제도를 시행해 물류기업의 전문화·대형화를 유도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독일 DHL는 220개국에 854개의 해외 현지거점 등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가 있는 것과 비교해 한국기업의 경우 범한판토스 26개국 133개, CJ GLS 11개국 24개, 대한통운 7개구 10개 등으로 상대적으로 크게 부족해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이렇다보니 국내기업인 삼성전자도 전체 물류의 절반(해외물류의 70%) 수준을 DHL 등의 외국기업에게 맡기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최근 1년 동안 물류기업 CEO 면담 등 지속적으로 업계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해외 네트워크 확장의 어려움, 현지어가 가능한 물류 전문인력 부족, 현지정보 입수 시행착오, 투자자금 부족 등이 해외진출의 저해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국토부는 종합물류기업 인증제도의 다음 단계로서 글로벌 물류기업 선정·육성 제도를 마련해 정부 지원을 강화키로 했다.


지원방안에 따르면 먼저 글로벌 인턴을 선발키로 했다. 국내 물류학과를 졸업한 취업예정자를 대상으로 내년도 약 60여 명의 글로벌 인턴을 선발하고 물류기업이 해외 현지법인에 파견할 경우 교육·체류비용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게 현지 채용인력에 대한 교육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물류기업이 현지법인에서 채용한 인력을 본사의 물류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국내에서 교육할 경우에 커리큘럼 개발과 교육비용이 지원된다.


또 금리를 낮춰주기로 했다. 수출입은행과 협조해 물류기업이 현지법인 설립·사무소 개설, 물류센터 개발투자, 글로벌 M&A 등을 추진하는 경우에 필요한 자금을 수출입은행에서 대출할 경우 금리를 최대 0.5%포인트 우대할 예정이다. 특히 해외화주에 대한 물류 서비스 제공시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한 관련 보험의 요율 인하(무역보험공사와 협의 추진) 등 향후 금융지원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밖에 해외진출 사업타당성 조사와 진출국가 초기정착에 필요한 컨설팅(화주기업 유치, 수배송 네트워크 확보, 현지법인 설립 등)을 지원하는 방안도 코트라(KOTRA) 등 의 유관기관과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다만 정부의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종합물류기업 인증을 획득한 기업 중에서 해외매출이 총 매출이 10% 이상이고 해외진출 사업계획 평가에서 우수 등급 이상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이달 말 선정 심사를 거쳐 내년 4월경 1차 육성대상 기업을 확정·공고키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오는 2020년까지 우리나라에서 글로벌 톱10 물류기업이 1~2개 탄생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정부의 모든 정책적 수단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진희정 기자 hj_j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