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금융권 가계대출 300조 육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금융당국 내년 2월까지 실태조사


[아시아경제 조태진 기자]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규모가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300조원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내년 2월까지 저신용 다중채무자가 몰려있는 2금융권의 가계대출 관리 실태를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15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 신협, 카드·여신전문, 보험 등 대출 취급 2금융권 총 자산은 지난 6월말 현재 889조 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08년 6월 말 610조 4000억원과 비교해 45.7%가 늘어난 것으로 이 같은 추세를 감안할 때 최근 총 자산이 90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기간 은행권 총 자산은 1737조 3000억원에서 1916조 3000억원으로 10.3% 가량 늘었다. 업권별로는 신협이 65.7%, 카드·여전업이 60.8%, 보험이 42.5%씩 커졌다. 저축은행은 올해 영업정지 사태의 여파로 성장세가 21.6%에 그쳤다.

제2금융권의 급팽창은 가계대출이 폭발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실제로 제2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11월 말 289조 3000억원이다.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 452조원의 3분의 2에 육박하는 규모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올해 하반기 들어 13조 5000억원(4.9%) 늘었다. 은행권이 9조 6000억원(2.2%)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증가율은 물론 증가액도 앞질렀다.


금감원 관계자는 "제2금융권 가계대출이 이대로 늘어나면 내년 상반기 중 300조원을 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당국은 제2금융권에 만연한 다중채무자(여러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채무자) 문제가 경기 둔화와 맞물릴 가능성에 대비하기로 했다. 개인신용평가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에 따르면 다중채무자는 주로 제2금융권에서 대출받는 5~7등급에 65%가량 분포하고 있다. 대출의 질이 나빠지는 가운데 5~7등급에서 연체자들이 속출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초점을 맞출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제2금융권 가계대출의 지속적인 관리'를 내년도 중점 업무계획으로 세웠다"며 "여러 정책수단을 자세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태진 기자 tjj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