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단독]"이렇게만 하면 혈세 160억 날리기 아주 쉽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3초

폼잡던 '디자인 영종도' 160억만 날렸다

[단독]"이렇게만 하면 혈세 160억 날리기 아주 쉽다" 인천 영종도에 추진되던 밀라노디자인시티 조감도.
AD

단독[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인천 영종도 밀라노디자인시티(MDC) 사업의 시행사인 ㈜피에라인천전시복합단지(FIEX)가 설립 4년 여 만에 160여 억 원을 날리고 결국 파산 처리됐다. 어떻게 하면 거액의 혈세를 아무 성과없이 낭비할 수 있는 지 보여준 전형적인 사례라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인천지방법원은 지난 1일 FIEX 측이 신청한 법인 파산을 선고하고 파산관재인을 선임했다. 파산관재인은 앞으로 채권자들을 모아 채권액을 조사하고 파산법인의 재산을 파악해 매각, 채권자들에게 배당하고 법인을 폐지할 예정이다.

FIEX는 인천시가 안상수 전 인천시장 시절인 2007년 외자 유치 등 3조7500여 억 원을 투자해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하늘도시에 디자인ㆍ전시 산업 중심지인 이탈리아 밀라노를 본 뜬 전시문화복합단지를 만들겠다며 설립한 시행사다.


하지만 때마침 덮친 부동산 경기 침체와 허술한 사업 계획 등으로 재원 조달에 실패해 지난 4월 사업은 무산됐고 이번 파산 선고로 인해 시행사도 공중분해 되고 말았다.

FIEX는 당초 2009년 11월 30일까지 1차로 사업부지 계약금을 납부해야 했지만 재원 조달에 실패해 납부하지 못했다. 이후 인천시와 LH가 납부 기한을 지난해 1월 31일, 5월 31일, 9월 30일로 세 차례 연기해줬지만 여전히 자금을 납부하지 못했다. 결국 최종 시한이었던 지난 3월 31일까지 내기로 한 토지 계약금 830억원을 내지 못하면서 토지매매계약이 해제됐고, 결국 지난 4월 사업 추진이 백지화됐었다.


FIEX의 파산으로 인해 인천도시개발공사(26.5%ㆍ15억9000만원)과 인천교통공사, 인천관광공사, 신한은행, 아이시티우드 등 주주들이 투자한 자본금 60억원이 허공으로 날아갔다. 또 FIEX의 채무는 총 100억 원 가량인 데 보전해 줄 만한 자산이 거의 없어 채무자들도 큰 손해가 불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3년 여 만에 160여 억 원의 돈이 낭비된 셈이다.


인천에선 어떻게 하면 거액의 혈세를 아무 성과없이 낭비할 수 있는 지 보여준 대표적 경우로, 유사 사례를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우선 사업 자체가 밀실에서 진행됐다. 인천시는 공모 절차ㆍ사업성 검증 등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이른바 '브로커'의 제안을 전격 수용한 안 전 시장의 의지에 따라 사업을 밀실에서 추진했다.


이러면서 검증도 제대로 되지 않았다. 이탈리아 밀라노를 재현한 디자인ㆍ전시복합단지를 짓겠다는 그럴 듯한 계획만 있었지 구체적 사업 계획과 사업성 검증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업이 무리하게 추진됐다. 실제 FIEX는 지난해 무려 54억3100만원이나 들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전시회'와 '트리엔날레 전시회'를 열었지만 입장료 수입은 예상했던 6억원의 3%인 2000만원을 올리는 데 그치는 등 컨텐츠의 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와 방만 경영도 심각했다. 지난해 9월 송영길 시장 취임 후 실시된 감사에서 FIEX 경영진은 외자 유치를 한 푼도 하지 못했으면서도 국외 출장비로 무려 4억5100만원, 접대비로 1억2000만원을 썼다. 이사회 특별 의결을 거쳐야 하는 10건 24억원의 사업비를 대표이사가 독단적으로 집행하기도 했다. 자금 차입 같은 주요 경영 사안도 주주총회 의결 없이 5건을 독단으로 추진하고, 토지매매 계약도 사후 안건으로 추인받는 등 정관을 위반했다. 무려 54억3100만원이나 들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전시회'와 '트리엔날레 전시회'를 열었지만 입장료 수입은 예상했던 6억원의 3%인 2000만원을 올리는 데 그쳤다. 관람객도 하루 평균 10여명씩 모두 2000여명이 들렀다. 그런데도 전시기간을 넉 달 늘려 3억900만원의 대여료 빚을 남겼다.
캐털로그 제작비로 밀라노 쪽에 3800만원을 주고도 국내 업체에다 카달로그 제작을 다시 맡기는가 하면, 한 업체에 3억5700만원을 주고 전시안내 시스템을 구입하고도 저작권 문제에 막혀 쓰지 못하기도 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어떻게 이렇게 방만하게 사업이 이뤄져 세금이 낭비되도록 방치됐는지 이해가 안 된다"며 "향후 이런 일이 다시 재현되지 않도록 철저한 검증과 준비를 거치게 하는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며 책임자를 찾아내 처벌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