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산림청, 내년 예산 ‘산림강국 실현’ 초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올보다 7.8% 는 1조8048억원 편성…기후변화대응, 산림자원이용·보호분야 등 중점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산림청이 내년도 산림행정 방향을 ‘산림강국 실현’에 초점을 맞추고 관련예산을 짰다.


산림청은 17일 내년 예산안을 올보다 7.8% 는 1조8048억원으로 잡았다고 발표했다.

분야별로는 ▲탄소배출권,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기후변화대응 및 산림자원육성에 34%인 6177억원 ▲임업인 소득인프라을 갖추기 위한 산림자원이용에 24%인 4218억원 ▲산림재해방지 및 산림생물다양성증진을 위한 산림자원보호에 31%인 5650억원 ▲혁신도시이전 등 행정지원에 11%인 2003억원 등이다.


사업별로는 기후변화대응 및 산림자원육성 분야의 정책 숲 가꾸기 사업, 숲 가꾸기 산물수집에 올해 수준인 2780억원을 잡았다.

707억원을 쓰는 조림사업에선 큰 나무공익조림사업을 올해(103억원)보다 줄여 63억원을 잡았다. 대신 산림재해방지조림에 올해(31억원)보다 5배 는 142억원을 반영했다.


산림품종·채종원 관리사업 강화부문엔 올 수준인 102억원이 잡혔다. 숲길(임도) 시설 및 임업기계화 보급사업 예산도 불어나 1258억원이 배정됐다. 산림과학연구사업비는 349억원이 다. 목재팰릿을 생산·보급하는 산림바이오매스 확충사업비는 178억원으로 지난해보다 늘었다.


내년엔 국립산림과학원 기능 중 목제품 품질인증·산양삼(장뇌삼) 품질관리 등의 업무를 맡을 한국임업진흥원이 신설될 예정이어서 관련예산 165억원이 책정됐다.


또 기후변화대책분야 이슈인 ‘REDD+(개발도상국 산림황폐화 방지 및 산림경영)’ 시범사업 추진예산 10억원이 새로 마련됐다.


산림자원이용분야인 선진임업기술 보급과 산림경영지도사업엔 임업인종합연수원 건립비 20억원을 새로 지원하는 등 실소요액인 222억원으로 늘렸다.


산모·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가 숲에서 체험활동을 할 수 있게 숲 체험 환경개선사업비 20억원을 새로 잡은 것을 포함, 산림휴양공간 확충·운영비는 317억원으로 늘었다. 숲 유치원 조성·운영비 5억원이 새로 반영된 산림휴양등산증진사업비는 122억원으로 증액됐다.


산림청은 이밖에▲국유재산관리사업비(844억원) ▲산지관리(25억원) ▲청정임산물이용증진(385억원) ▲숲길네트워크 구축(58억원) ▲국립백두대간테라피단지조성사업비(250억원) 등도 예산안에 넣었다.


산림자원보호분야의 사방사업에선 계류보전사업비를 올해 138억원에서 588억원으로 크게 올렸다.


사방댐사전설계비 34억원을 새로 반영, 2317억원으로 늘렸다. 산불방지대책사업에선 산불예방전문진화대 고용일수를 120일에서 150일로 늘림에 따라 66억원을 증액한다.


산불현장 동영상 전송시스템설치비 3억원을 새로 넣어 572억원으로 늘렸다. 산림병해충방제사업엔 698억원을 쓴다. 효율적 산림보호사업을 위한 헬기운영비로 366억원이 편성됐다.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사업비가 20억원에서 70억원으로 느는 등 산림생물다양성증진사업비도 175억원으로 는다.

그러나 재정사업자율평가 ‘미흡’사업으로 예산을 10% 이상 줄이도록 한 산림서비스도우미사업은 13%, 산림재해모니터링사업은 20%가 줄었다.


오기표 산림청 기획재정담당관은 “정부 예산안은 국회심의를 거쳐 12월 최종 확정 된다”며 “내년 예산안은 ‘녹색성장을 이끄는 품격 있는 산림강국’이란 산림청 비전을 이루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왕성상 기자 wss4044@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