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 국민 63% '20년 후 경제 낙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전경련, 한국경제비전 2030 설문 결과 '비관'보다 두 배 높아

우리 국민 63% '20년 후 경제 낙관'
AD

[아시아경제 이정일 기자] 우리 국민의 63%는 미래 우리나라 경제를 낙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경제성장 및 일자리 확대’를 꼽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가 전국 성인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향후 20년 후 대한민국 경제에 대해 낙관한다는 응답이 63%를 기록했다. 이는 비관적이라는 응답(27.4%)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낙관적'이라는 응답은 대체로 남성(68.0%), 고학력(대재 이상 69.8%), 화이트칼라(67.9%) 등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비관적’이라는 응답은 여성(31.5%), 저연령층(19~29세:34.5%), 고졸(35.8%)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우리경제의 성장 방식과 관련해서는 기업주도 방식(52.7%)을 정부주도 방식(40.1%)보다 선호했다. 정부 형태에 대해서는 작고 효율적인 정부(60.1%)를 크고 강력한 정부(33.5%)보다 좋아했다. 기업의 역할을 묻는 질문에는 일자리 창출(68.8%)이 사회공헌(29.9%)보다 두 배 이상 높게 조사됐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경제성장 및 일자리 확대’(42.5%)를 꼽았다. 이어 ‘정치 선진화’(22.6%), ‘빈부격차 해소’(21.5%), ‘지역주의 타파’(5.5%), ‘이념대립 완화’(4.2%) 등이 주요한 숙제로 거론됐다.


향후 우리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환경변화에 대해서는 ‘저출산·고령화’가 40.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25.6%), '자원·에너지 고갈’(9.2%), ‘이념/계층 간 갈등 심화’(8.2%), ‘중국 등 신흥국 부상’(7%) 순으로 조사됐다.


전경련 관계자는 “우리 국민들 상당수가 한국경제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어, 정부와 정치권이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비전을 제시하고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면 우리나라는 머지않아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정일 기자 jayle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