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시아블로그]자동차보험 획기적 아이디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아시아경제 조영신 기자]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가 1800만대를 넘어섰다. 인구 2.7명당 1대꼴로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이를 감안하면 단일 보험상품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보험은 단연 자동차보험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보험을 판매하는 손해보험사 입장에서 보면 자동차보험은 그다지 영양가 있는 상품은 아니다. 속된 말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상품'중 하나다.


특히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말과 탈'은 극에 달한다. 자동차보험은 배상책임, 즉 나의 잘못으로 인해 발생한 타인의 손실이나 손해를 보상해 주는 보험이다.

예컨대 A보험사에 가입한 홍길동이 B보험사 가입자인 임꺽정의 실수로 사고가 났다면 B보험사가 홍씨의 치료비와 자동차 수리비를 해결해 주는 구조다. 홍씨는 가능하면 많은 보상을 받으려고 하기 때문에 과잉진료의 유혹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


과실비율을 따지기도 하지만 통상 홍씨는 자신과 전혀 상관없는 B보험사로부터 많은 보상(치료비 및 위로금)을 받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비슷한 사고를 당한 사람보다 적은 보상을 받으면 바보 취급도 받는 게 한국의 교통사고 보상시스템의 현주소다.


그럼 이런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은 없을까?


배상책임이라는 근간은 그대로 두고 '피해자 중심이 아닌 계약자 중심'으로 보상시스템을 바꾸면 어떨까?


쉽게 말해 홍씨의 치료비와 수리비를 A보험사가 보상하면 '말과 탈'은 크게 줄 수 있을 것 같다.


홍씨가 가입한 A보험사 보상 직원이 직접 병원을 방문, 홍씨를 위로하고 최상의 치료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면 홍씨의 불신은 크게 줄어들 것이다. 보도 듣도 못한 B보험사 보상직원보다 깊은 믿음이 갈 수 밖에 없다. 수리비 역시 마찬가지다.


사고처리가 끝난 후 A보험사는 B보험사에 홍씨의 치료비와 수리비 등을 청구, 모든 비용을 정산하면 된다.


B보험사 역시 개인이 아닌 보험사를 상대하기 때문에 민원발생이 크게 줄 수밖에 없다.


물론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이 피해자 중심에서 계약자 중심으로 보상시스템이 바뀌면 손해보험사들이 계약자를 가려 받을 가능성이 크다. 사고 위험이 떨어지는 직장인은 우대받고 그렇지 못한 운전자는 자동차보험 계약시 푸대접 받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만 마련된다면 자동차보험 보상시스템을 바꿔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싶다.






조영신 기자 asch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