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에너지 절감 그린홈시대]임대주택, 겨울이 따뜻했던 까닭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분 1초

[아시아경제 진희정 기자] 서울 강서구 등촌동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김순정(70) 할머니는 지난해 겨울을 따뜻하게 보냈다. 100년만의 한파라고 기록될 정도로 추웠지만 오히려 보일러를 덜 틀고 지냈다. 김 할머니를 포함 1149가구가 살고 있는 아파트 전체가 대대적인 보수를 거쳤다. 오래된 알루미늄 창틀은 떼어내고 단열이 잘되는 플라스틱 복층 새시를 설치했다. 복도식 아파트의 가장 큰 문제였던 창도 플라스틱 복층 이중창으로 교체했다. 김할머니는 "난방을 조금만 해도 방안이 따뜻하고 보일러를 잘 안틀게 됐다"며 "이번 겨울도 추울거라며? 난 걱정안돼 "라고 말했다.


지난 2010년부터 서울 등촌동과 중계동 등의 노후된 영구임대주택 1만229가구가 입주민들의 돈을 들이지 않고 '그린홈'으로 탈바꿈됐다. 국토해양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비용을 전액 부담해 에너지를 덜 쓰는 친환경 주택사업인 '그린홈 사업'을 펼치고 있는 것. 특히 LH는 저탄소ㆍ녹색성장을 위한 '그린홈' 건설에 전력투구 중이다. 실례로 LH는 57개 지구에 약 3만5000여 가구에 달하는 태양광 공동주택을 건설해 현재까지 태양광으로 발전해 절감한 전기요금만 18억원에 이른다. 이는 연간 약 4300톤의 이산화탄소를 저감한 것으로, 36만 그루의 소나무를 심은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에 정부도 적극적으로 그린홈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0년까지 200만홈 그린홈=현재 미국, 독일, 영국, 일본 등 선진국이 중심이 돼 주도적으로 그린건축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지원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친환경 주택등급 기준을 신설했으며 창호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제를 오는 2012년부터 시행하기 위한 준비에 여념이 없다. 친환경 주택등급 기준을 보면 외벽, 창호, 문, 바닥, 보일러 등 다양한 분야를 검토해 한 세대라도 최소 성능 수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전체 공공주택사업의 승인이 불가능한 강력한 제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국토부는 중장기 전략으로 '녹색건축물 활성화 추진전략' 및 '그린홈 시범단지 조성계획'을 통해 전 건축물을 녹색화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즉 건축물 허가단계부터 에너지 절감을 유도함으로써 오는 2025년까지 '공동주택 제로 에너지화'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것이다. 또 보금자리주택을 대상으로 모범적인 실증단지를 조성해 2020년까지 그린홈 200만 호를 건설할 계획이다. 또 일반국민이 건축물 에너지 소비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에너지 소비증명제를 도입하고 모든 기존 건축물(660만동)의 에너지 소비정보를 데이터베이스 (DB)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난 7월부터 1만㎡ 이상 업무시설 등 대형건축물에 대해 건축물의 전체에너지 사용량을 제한하는 에너지 소비총량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적용대상이 모든 건축물로 확대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특히 재정·금융지원 등을 통해 2016년까지 노후 공공임대주택 28만호를 2020년까지 노후 건축물 20만 동(전체 약 30%)을 각각 그린 리모델링화를 추진하기로 했다"며 "아울러 내년부터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 청사는 현행보다 더 강화된 에너지 성능을 확보토록 함으로써 공 공기관이 녹색건축을 선도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한국형 그린홈 실증단지도 조성=지난해 이미 우리나라 최초의 아파저에너지 친환경 주택이 모습을 드러냈다. '그린홈 플러스'는 저타소 녹색성장이라는 비전에 맞춰 연구개발(R&D) 예산을 지원하고 연세대 연구팀, 대림산업, 피움 등 30여개 업체들이 4년간 진행한 산·학·연 합동 프로젝트다. 이 모델은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 '외부환경 조성기술', '건축물 단열', '고효율 설비기술' 등 총 3개 분야별로 최신기술 및 친환경 건축자재를 사용됐다. 또 기존 공동주택 표준모델을 비롯해 에너지 절감 단계별로 ▲40% 절감 모델 ▲60% 절감모델 ▲80% 절감 모델 ▲100% 절감 모델 등 총 5개의 유니트가 각각의 개성을 드러냈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그린홈 플러스는 단순히 홍보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주택이 아니라 실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연구하기 위한 공간"이라며 "실제 각 가구별 거주를 통해 매일 에너지 사용량을 점검해 모델 개선에 참고한다"고 설명했다.
공동주택에 이어 단독주택 실증단지도 곧 그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현재 경기도 용인흥덕지구 52가 규모를 대상으로 참여업체를 공모중이며 기존 주택대비 최소 70% 이상 에너지 절감 목표(난방비 90% 이상 절감)로 태양광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적용할 계획이다.

◆아직은 '걸음마 단계'=하지만 정부가 추진하는 국내 최초의 주민 실제 거주형 단독주택 그린홈이 출발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사업자 신청이 더뎌 당초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 계획상 이달 착공이 이뤄질 예정이었으나 사업자가 선뜻 나서지 않아 일정이 늦춰진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실증단지의 경우 평당 건축비가 2000만원선으로 일반 아파트보다도 비싸다"며 사업성이 없어 참여사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사업성 확보를 위해 세대수와 부지 등을 건설사들의 경제성을 고려한 조건으로 보완하는 작업을 추진중"이라며 "착공 등 당초 계획보다 늦어지고 있지만 사업내용을 보완해 올해내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향후 분양가 상승이 불가피해진 만큼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뤄질지 미지수다. 결국 녹색 건축물로 바꾸는 데 추가되는 비용을 정부가 규제완화 및 세제감면 등으로 상쇄해 주지 않으면 그린홈 실현 가능성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




진희정 기자 hj_ji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