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주민투표 하루만에..與野 마음 벌써 '콩밭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아시아경제 김달중 기자] 서울시의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끝나자 정치권의 시선은 서울시장 보궐선거로 쏠리고 있다. 인구 천만의 도시의 수장을 뽑는 선거로 내년 총선과 대선에 미칠 영향력이 큰 만큼 여야 간 치열한 접전이 불가피하다.


정치권은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올해 치러질 경우 2012 총선과 대선의 전초전 성격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주민투표 무산에 따른 파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성'해야 할 인물에, 민주당 등 야당은 '수도 탈환 임무'를 맡을 적임자에 대한 하마평이 쏟아지고 있다.

여권의 고민은 오 시장의 사퇴 시기다.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오 시장이 9월30일 이전에 사퇴하면 10ㆍ26 재보선 때, 10월1일 이후에 하면 내년 4ㆍ11 총선 때 치러진다.


여권 수뇌부는 24일 주민투표 직후 심야 회동을 열고 사퇴시기를 조율했다. 오 시장은 "당장 사퇴하겠다"는 뜻을 피력했으나, 홍준표 대표와 청와대는 10월 이전 사퇴를 반대했다. "국정감사까지는 오 시장이 맡아야 한다"며 구체적인 시기까지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내년 4월 총선에 보궐선거를 치를 경우 유력 대선주자인 박근혜 전 대표의 지원으로 수성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서울시장 공백 상태가 6개월간 지속되고 민주당이 주도하는 서울시의회가 시정을 장악할 수 있다는 점이 부담이다.


반면, 민주당은 오 시장의 즉각 사퇴를 압박하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25일 "주민투표로 182억원을 낭비했고, 보궐선거로 300억원이 소요된다면 한나라당 후보를 찍어줄 명분이 없을 것"이라고 10월 보궐선거에 무게를 뒀다.


여권에서는 차기 서울시장 후보군에 '수성이 가능한 인물'을 기준으로 거론되고 있다. 일순위로는 나경원 최고위원이 언급된다. 대중성을 기반으로 지난해 서울시장 후보경선에서 2위를 기록했고, 올해 7ㆍ4 전당대회에서 일반인 여론조사에서 1위를 기록하며 지도부에 입성했다.


원희룡 최고위원도 여권의 유력한 후보군으로 떠오르고 있다. 비록 지난 전대에서 대선과 총선 등 공직후보 불출마를 선언했지만 오히려 자신의 몸을 내던졌다는 의미에서 '구원투수'의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밖에 여권 일각에서는 임태희 대통령실장이 직접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힘이 실린다.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도 외부 인사로 거론된다.


민주당은 지난 서울시장 선거 패배의 설욕을 씻을 수 있는 기회로 삼겠다는 각오다. 하지만 10월 보궐선거가 실시될 경우 정당 간 통합 일정과 맞물려 단일화를 둘러싼 복잡한 상황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도 있다.


유력 후보로는 박영선 정책위의장이 꼽힌다. 정책통이자 대중성을 확보했다는 장점이 있다. 친노진영에서는 한명숙 전 총리가 다시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전 총리는 지난 지방선거에서 오 시장과에게 0.2%포인트 격차로 패배했다.


386세대 대표주자로 지난해 10·4 전당대회에서 '돌풍'을 일으켰던 이인영 최고위원도 거론된다. 이 최고위원은 개혁적 성향이 강한데다 야권통합특위 위원장으로 후보 단일화에 적합하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이 최고위원 주변에서는 서울시장보다 당대표 도전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이밖에 현대그룹 최고경영자 출신으로 실물경제에 밝은 이계안 전 의원과 기획통으로 평가받은 김한길 전 의원, 원혜영 전 원내대표도 후보군으로 꼽히고 있다.




김달중 기자 dal@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