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폐연료봉 2016년에 둘 곳이 없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고준위 폐기물 논위 본격 시작해야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반전 여론이 높은 가운데 폐연료봉(사용후 핵연료)처리 문제가 우리나라에서도 현안으로 떠올랐다.


24일 지식경제부 등에 따르면 국내 21개 원전에 보관돼 있는 폐연료봉 숫자는 1535만개에 이른다. 이들 중 57.7%는 수조에 임시로 보관돼있으며 나머지는 6년 가량 냉각을 거쳐 월성 본부내 건식저장고에 보관돼있다. 폐연료봉은 발전 후 사용하고 남은 핵연료봉을 말하는 것으로 플루토늄과 넵투늄, 큐룸 등 방사능 농도가 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가 최고 수십만 년에 달하는 고준위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1978년 국내 최초의 상업원전 고리1호기를 가동한 이후 33년간 생성된 생성된 폐연료봉은 현재 원전에 임시보관되고 있다.


문제는 2016년이 되면 고리원전 내에서 보관할 수 있는 폐연로봉이 포화에 이른다는 점이다. 이와관련 한국원자력컨소시엄은 최근 토론회를 열어 "지금 당장 국내 원전 내 보관된 폐연료봉의 전용 저장시설 건설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임시중간저장시설을 짓는데 건설기간을 포함해 최소 10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할 때 2014년부터는 사업에 착수해야한다.

그러나 폐기물을 처리하는 문제는 쉽지 않다. 무엇보다 부지 확보가 쉽지 않다. 정부는 지난 1986년 "고준위와 중ㆍ저준위 폐기물을 한번에 처리하는 시설을 95년까지 짓는다"는 방침아래 이를 강력히 추진했지만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무산됐다.부지 후보로 거론된 충남 안면도ㆍ인천 굴업도ㆍ전북 부안 주민들이 격렬하게 반발했다. 결국 정부는 18년간의 논의 끝에 경주에 막대한 인센티브를 주고 중저준위만 폐기물 처리장만 짓고 있다.


학계에서는 스웨덴처럼 30년 끝장 토론을 하더라도 사용후 핵연료 방법을 논의 하자는 목소리가 크다. 세계 원전을 하는 30개국 중에 사용 후 핵연료 처리 방법을 정하지 못하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시민단체들도 "포화시점을 연장한다고 조밀 저장을 하면 우쿠시마 원전 사고 같은 위험이 더 커진다"며 "단지 고준위 방폐장 건설 문제로 접근한 게 아니라 사회적 공론화를 빨리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기찬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사는 "당초 안대로 2016년까지 중간저장시설을 확보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 "사회적 합의를 제외한 상태를 가정해도 건설과 인허가만 최소 10년이 걸린다"면서 "당장 중간저장시설 건설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자력컨소시엄은 오는 29일에 두번째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김승미 기자 askm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