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성환 외교 "동해 궁극적 목적은 단일표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12일 동해 표기문제와 관련해 "정부가 동해-일본해 병기를 추진하고 있는 것은 일차적 목적이고 궁극적 목적은 동해의 단일 표기"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내ㆍ외신 정례브리핑에서 "동해표기 문제도 독도 문제와 마찬가지로 일본 식민지배 잔재 청산작업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우리가 국가를 갖지 못했던 1920년대부터 일본해라는 표현이 사용됐고 이후 수십년간 국제사회에서 일본해라는 표현이 널리 쓰였다. 우선 병기를 추진하지만 동해 단독표기를 당연히 추진할 것"이라면서 "국제수로기구(IHO) 총회 협의상황을 보면 일본해 단독표기에는 많은 나라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동해' 대신 '한국해' '조선해' 등 다른 명칭의 사용 여부에 대해 "유엔 가입 당시 이미 검토한 바 있다"면서 "그러나 잃어버렸던 역사적인 이름을 되찾아오는 데 도움이 된다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해 볼 수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김 장관은 또 독도영유권 주장을 위해 방한한 일본정치인들에 대해 "(지난 1일)일본 정치인들을 다시 돌려보낸 것은 한국정부로서 이들에 대한 신변을 보장해야 했기 때문"이라며 "이날 시내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신변을 보장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돌려보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비정치적인 행위를 위해 방한한다면 어떠한 규제를 할 의사가 없다"며 "우리도 규제를 가한다는 생각은 전혀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신도 요시타카(新藤義孝), 이나다 도모미(稻田朋美), 사토 마사히사(佐藤正久) 의원 일행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 예정된 울릉도 방문을 강행하려 지난 1일 오전 8시55분 하네다 공항을 출발해 방한했다. 하지만 정부는 이들을 입국심사대에 도착하기 전 송환대기실로 안내하고 정부의 입국불허 방침을 설명했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