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반도체 값 급락하는데..삼성電-하이닉스, 왜 웃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아시아경제 전필수 기자]반도체 가격 하락세가 임계점을 넘어서면서 메이커간에 제2차 '치킨게임'이 벌어질 조짐이다. 선발업체로서 효율이 높은 삼성전자하이닉스가 다시금 승리의 과실을 맛볼 것이란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치킨게임이란 상대가 항복할 때까지 출혈을 감수하는 극단적인 경쟁을 의미하는 것으로, 적자를 견디지 못한 반도체 메이커가 시장에서 퇴출되거나 구조조정에 나서면 나머지 업체들이 승자로 남게 된다. 반도체 산업의 치킨게임은 2년여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로 한 시기에 발발해 국내업체들이 상당한 반사이익을 누렸다.


2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대만의 메모리 반도체 업체 난야와 이노테라는 최근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난야는 시장 예상치보다 12%나 적은 매출실적과 함께 65억3000만 대만달러의 영업손실을 내놨다. 대만의 이노테라 역시 시장이 예상했던 것보다 두 배 이상 많은 34억8000만 대만달러의 영업적자를 발표했다. 두 회사는 2010년 1분기 이후 6분기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2009년 4분기의 반짝 흑자를 제외하면 무려 16분기 연속 적자행진이다.

올 들어 반도체 가격이 지속적으로 급격히 하락하면서 대만 업체들의 경영난이 심화됐다. 지난해 1월20일에만 해도 개당 3.15달러에 달했던 1기가비트(Gb)짜리 DDR3 가격은 지난 20일 0.82달러로 추락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이에따라 조만간 반도체 공급초과 현상이 완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대만업체들의 경우 이제 팔면 팔수록 적자를 내는 상황에 직면했다는 것이다. 삼성증권은 "1Gb DDR3 D램의 현금비용이 선두업체들은 개당 0.7~0.8달러에 불과하지만, 대만 업체들은 1달러를 넘기 때문에 지금의 시장가격에서는 변동비용도 감당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특히 고정가격이 급락한 이달부터 마진율이 급감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한화증권은 난야의 경우 당장 이번분기부터 감산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신규투자를 미뤄야 할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다. 이노테라는 이미 2분기에 DRAM 웨이퍼를 전분기대비 7% 정도 감산했다.


이에 반해 국내 메모리업체들은 비PC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덕에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DRAM 가격이 최저 기록을 경신하고 있지만 국내 메모리업체들은 DRAM 및 NAND를 같이 양산하기 때문에 대만의 순수 DRAM 업체들보다 수익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대만업체들의 감산이 본격화되면 DRAM 가격이 안정을 찾고, 덩달아 국내업체들의 수익성도 회복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기대다. 김장열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경쟁사의 극단적인 부진에 따른 구조조정 시나리오에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제품가격 하락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주가에 오히려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메리츠증권은 하이닉스 목표가를 4만원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미래에셋증권은 3만9000원, 동부증권은 3만8000원을 산정하고 있다. 2만4000원대인 현 주가에 비해서는 상당히 높은 수준. 대만발 공급과잉이 해소되면서 반도체 가격이 곧 바닥을 칠 것이란 전망에서다. 삼성전자 목표가도 여전히 100만원대에서 120만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앞서 2년전 치킨게임에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는 점유율을 크게 늘리며 실적까지 대폭 개선시켰다. 삼성전자의 DRAM 세계 점유율은 2008년 1분기 26.8%에서 4분기 30%대에 진입한 뒤 2009년 2분기에는 37.2%에 달했다. 하이닉스도 19~20%이던 점유율을 23.8%까지 높였다. 이 과정에서 2008년 2조2000억원대의 영업손실이 2010년엔 3조원대의 이익으로 돌아섰다.


당시 시장점유율 22%대를 유지했던 파워칩, 프로모스, 난야 등 대만 3사는 올해 2분기 13.8%로 거의 반 토막 났다. 독일 키몬다는 파산보호에 들어가며 아예 시장에서 퇴출당했다.




전필수 기자 philsu@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