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테크노마트 사태가 우리 사회에 남긴 것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아시아경제 김효진 기자]불과 140분. 지난 5일 일부 층에서 진동이 발생한 테크노마트에 관할 지자체인 광진구청(구청장 김기동)의 대피지시가 내려지기까지 걸린 시간이다.


명확한 진동의 원인조차, 심지어 진동이 정말 있었는지 여부조차 확정적으로 가려지지 않아 '과민반응이 아니었냐'는 말까지 나오는 마당이지만 광진구청의 발빠른 대응만은 높이 살 만했다는 게 대다수의 지적이다. 해프닝에 호들갑을 떨어 상인들에 피해를 준 조치로 볼 게 아니라,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여긴 모범적 조치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7일 광진구청과 테크노마트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 건물 내부 상인들과 고객들은 지난 5일 오전 10시10분께 24층 이상 일부 층에서 상하 방향의 진동을 느낀 것으로 알려졌고, 이 내용이 입에서 입으로 퍼지며 순식간에 '탈출러시'가 생겨났다. 처음 진동이 감지된 지 약 5분이 지난 10시15분께 입주상점 직원 중 한 명이 119에 신고를 하면서 '사건'은 본격화됐다.


약 25분 뒤인 10시40분께에는 건물 관리업체 시설팀ㆍ안전팀 및 광진구청 건축과, 광진소방서ㆍ경찰서 관계자들이 집결해 대책회의에 들어갔고 비슷한 시각까지 건물 내부에 있던 상인과 고객 등 300~500명이 대피를 마쳤다. 동시에 2008년 이 건물 안전진단을 담당했던 업체 직원이 정확한 상황파악을 위해 출동했다.

처음 진동이 발견된 지 약 2시간 20분 뒤인 낮 12시30분, 대책회의 결과를 보고받은 김기동 구청장은 결국 테크노마트 입점상인과 고객들 모두에게 공식적으로 대피지시를 내렸다. 건물에서 이렇다 할 문제가 발견된 것도, 지진이 난 것도 아니었지만 김 구청장은 입점상인과 시민의 안전을 가장 중요한 고려요소로 삼고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과감하게 대피지시를 했다. 시민들의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은 것이다.


사건 하루 뒤인 6일 현장에서 만난 테크노마트 관계자는 "상인들이나 관계자들은 이번 사태가 해프닝일 가능성도 높게 보고 있고 퇴거조치에 불만도 많은게 사실"이라면서도 "구청을 상대로 소송까지 낸다는 말이 들리는데, 냉정하게 보면 구청 입장에서는 최선을 다한 것 아니었냐"고 말했다.


사건 당일 건물 앞에서 만난 한 입점상인도 "결과만 가지고 따질 수는 없는 노릇이다. 만약에 그냥 내버려둔 상태에서 무슨 일이 났다면 어떠했겠나"라며 손해를 입게 된 것과 별개로 구청의 조치는 적절했다고 말했다. 지난 95년 삼풍백화점 붕괴사태로 크게 놀라본 한국사회가 재난대응에 더욱 성숙해졌다는 것이 이번 테크노마트 사태를 지켜본 대다수의 견해다.




김효진 기자 hjn2529@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