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전도시철도 노선, ‘예타’도 가기 전에 다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초

이달 말 신청키로 했지만 자치구, 정치권, 시민단체까지 나서 노선 변화 주장

대전도시철도 노선, ‘예타’도 가기 전에 다툼 대전도시철도 2호선 노선도.
AD


[아시아경제 이영철 기자] 대전도시철도 2호선이 각 자치구의 노선 유치경쟁에 이어 정치권과 시민단체까지 거들면서 시민들은 혼란에 빠졌다.

특히 대전시가 정부 예비타당성 조사(예타) 신청을 이달 중 강행 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노선논쟁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게 됐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은 진잠~서대전4거리~대동~중리4거리~정부청사~유성4거리까지 순환형으로 잇는 노선이다. 전체거리는 28.6km로 계획됐다.

여기에 5개 자치구 중 서구를 뺀 4개 자치구에서 노선변경을 요구하고 나서며 대전시를 압박했다. 그러나 대전시는 유성구의 요구노선을 빼고는 자치구의 요구안이 비용보다 경제성이 낮아 예타신청에서 떨어질 수 있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대전시의 이런 입장에 반기를 강하게 든 곳은 대덕구. 염홍철 시장이 ‘6·2지방선거’
때 신탄진까지 지하철을 놓겠다고 공약했다가 충청권광역철도망이 확정되면서 대덕구를 걸쳐가는 순환형으로 바꾸면서 정용기 구청장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정 청장에 이어 대덕구 국회의원인 김창수 의원도 예타신청을 미뤄서라도 자신의 제안노선에 대한 ‘간이 예타’를 제3의 기관에 맡겨 공정하게 하자며 사실상 대전시 계획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김 의원은 지난 15일 시청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전시가 진행 중인 예타조사는 기간이 너무 짧아 졸속으로 흐를 수 있고 결론을 먼저 내린 채 형식적으로 꿰맞추기식 조사가 아니냐는 의혹을 불러 일으키기 쉽다”면서 “예타신청시기를 이달말에서 오는 12월로 미뤄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상민(자유선진당, 유성구) 의원도 19일 보도자료를 내고 “도시철도 2호선 건설구간을 포함한 대전시 교통계획에 대해 과학벨트를 핵심요소로 전제한 전면 재조정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날 “최근 도시철도 2호선과 관련, 지역사회가 분열과 갈등을 겪고 있어 지역국회의원으로서 입장표명을 자제해 왔으나 갈등이 커지고 과학벨트 거점지역 확정이란 매우 중요한 사정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 입장을 표명하고자 한다”며 이런 입장을 밝혔다.


대전시, 대덕구, 정치권 등에서 노선유치로 분열을 겪자 시민단체도 책임공방에 나섰다.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19일 입장발표를 통해 “도시철도에 따른 분열과 갈등은 염 시장과 구청장, 국회의원 등 지역 정치권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연대회의는 “그 누구보다 정책결정과정의 정당성과 명분을 강조해야할 자치단체장이 최소한의 경제성 분석도 없이 교통복지와 균형발전 논리를 주장했다”며 “교통 복지와 균형발전논리가 이제와선 지역민들이 노선유치 논리로 변질되고 뒤늦게 대전시는 경제성을 따지자고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역여론이 분열과 갈등으로 다툼이 일고 있으나 대전시는 이달 말 예타를 신청하고 예타통과를 전제로 내년 기본·실시설계를 마치며 2014년 공사착공, 2019년 도시철도 2호선을 완공할 예정이다.




이영철 기자 panpanyz@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