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위기의 악순환] 건설사 4차 구조조정 카운트다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건설업계 4차 구조조정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갔다. 가뜩이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중에 4차 구조조정 바람까지 불면서 건설업계에선 돈줄이 말랐다는 비명이 터져 나온다.


지난 4월에만 7개의 건설사가 부도를 맞았다. 전년 동월보다 5개사나 더 늘어난 것이다. 이달에도 삼부토건, 동양건설산업 등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 결정을 연기하며 최종 부도는 막았지만 위기감은 최고조다. 흑자경영으로 알짜기업 소리를 듣던 곳이지만 돈을 구할 수 없던 것이 문제였다.

대형 건설사들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100위권 기업 가운데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신청한 건설사는 28개사에 달한다. 살아남은 대형건설마저 신규 PF 대출은 커녕 운영자금 조차 빌리기 어렵다고 아우성이다. 신규 보증 없이는 대출도 만기할 수 없다. 4차 구조조정에서 시공능력평가순위 20위권 건설사나 대그룹 계열 건설사가 포함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이렇다 보니 4차 구조조정을 앞두고 건설사들의 '제 살 깎아먹기' 경쟁은 대형사까지 확산됐다. 분양가 할인은 물론 고가의 외제차량까지 경품으로 내세우며 미분양 털기 작전에 들어갔다.


2009년부터 시작된 건설사 구조조정으로 워크아웃에 들어간 건설사들의 상황은 더욱 참담하다. 채권단이 단기 채권 회수에만 집중하고 있는 탓이다. 워크아웃 건설사들은 사옥과 알짜 사업지를 팔며 빚을 갚는데 급급하고 있다. 반면 신규 자금 지원은 언감생심이다. 신규사업에 투자해 수익을 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지 못하면서 워크아웃이 법정관리 수순이란 얘기까지 나돌고 있다.


대형 건설업체 한 임원은 "그야말로 아비규환이 따로 없다"며 "3차 구조조정 과정을 통해 이미 건설업의 허리가 사라진 상태인데 4차 구조조정 후 업종 자체가 고사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