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역시나' 한나라, 연찬회도 헤게모니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아시아경제 지연진 기자]2일 국회에서 하루종일 열린 한나라당 의원 연찬회에선 예상대로 주류와 비주류간 격돌이 벌어졌다. 차기 원내대표 경선과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앞두고 개최된 만큼 주류와 비주류간 계산법은 달랐다.


"간판 교체" VS "대주주 등원론" = 당내 소장파들은 이날 4.27재보선 참패에 대한 책임론을 제기하며 친이(친이명박)계 주류의 2선 퇴진을 요구했다.

김성태 의원은 "청와대와 정부의 거수기로 만든 주류의 2선 퇴진이 필요하다"고 말했고, 김성식 의원도 "친이계의 핵심 좌장에게는 2선으로 후퇴하라는 이야기는 안하겠지만 공간을 좀 더 열어달라"며 이재오 특임장관의 인사권 개입을 에둘러 비판했다.


이들 소장파는 대표 및 최고위원 분리 선출과 당원 투표제 등을 당 간판 교체 방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정태근 의원은 "지금의 전대 방식으로는 지구당 위원장을 줄 세우기하는 결과만 낳고 있다"면서 "대표와 최고위언을 분리하는 방식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친이계는 당내 화합을 강조하며 박근혜 전 대표를 비롯한 계파 수장들이 전면에 나서야 한다고 맞섰다.


이재오 특임장관의 측근인 이군현 의원은 "당이 실질적으로 당력을 모으는 방법을 찾으면 그 다음은 쉬울 것"이라며 "최대 주주들이 공동 대표체제로 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정몽준계로 분류되는 정미경 의원은 "박근혜 전 대표와 정몽준 전 대표, 이재오 특임장관이 나와야 한다. 그래야 시청률이 올라간다"면서 "박 전 대표가 손에 피를 묻히고 얼굴에 흙을 묻혀야 국민들은 감동한다"고 대주주 역할론을 강조했다.


특히 주류에선 비주류의 '2선 퇴진' 요구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이군현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이 특임장관이 공천을 한 것도 아니지 않느냐"며 "친이계 2선 후퇴론은 부당하며 선거 패배는 모든 국회의원에게 공동의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반론했다. 안경률 의원도 "친이가 뭘 잘못했느냐"며 "집단 지도체제인 만큼 다 책임져야 하는 것 아니냐"고 항변했다.


비주류는 차기 원내대표 선출과 당 지도부에 대해서도 인적 쇄신을 강하게 요구했다.조원진 의원은 "원내대표 선거부터 변화해야 한다. 수도권의 젊고 참신한 인사가 나와야한다"면서 "6일 선거를 치루면 네분 중 한 명이 원내대표가 되겠지만 이것이 한나라당의 변화된 모습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정권 의원은 "중진과 간판은 당 대표를 하고, 미래의 희망을 보여주기 위해 소장파를 지도부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조기 대선론..당헌당규 개정될까? = 박근혜 전 대표의 역할론은 이번 연찬회에서 최대 이슈였다. 일부 소장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내년 총선을 대비하기 위해 박근혜 전 대표의 역할론을 강조하며 조기 대선을 요구한 것.


이를 위해 당헌당규 개정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한나라당 당헌당규에 따르면 대권 후보는 대선 1년6개월 전부터 당지도부를 맡을 수 없도록 돼 있다.


김용태 의원은 "총선 전에 대권후보 선출을 위한 프라이머리(경선)을 시행하자"고 제안했고, 신지호 의원은 "당 지도부가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며 "대선 1년 반 전에 대통령 후보로 나올 부는 사퇴해야 한다는 규정을 풀어야 한다"고 당헌당규 개정을 촉구했다.


반면, 일부 의원들은 대선후보의 조기 등판이 대권구도에 유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홍준표 최고위원은 "박 전 대표는 그런(당헌당규 개정) 생각을 안하는데 박 전 대표를 모시는 분들이 당권과 대권을 합치자고 한다"면서 "박근혜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기 위해 당권과 대권을 합치자는 것은 함재비(함진애비) 정치"라고 비난했다.


김성식 의원은"('박근혜 구원투수론'은) 유력한 대선주자를 끌어들여 총선판을 모면하려는 의도라는 의구심을 받을 수 있고, 친이에서 친박으로 권력의 중심을 옮긴다는 것은 문제해결의 단초가 아니다"라고 반대했다.


서병수 최고위원도 기자들에게 "박 전 대표가 나서면 당ㆍ청 관계에 부자연스러운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며 "내년 총선에 앞서 자연스럽게 그와 다른 주자들이 나설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질 것이고 그때 활동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지연진 기자 gy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