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과학벨트, '政治벨트' 됐다

시계아이콘01분 0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김수진 기자]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 유치를 위한 지자체간의 경쟁이 더욱 과열되고 있다. 과학벨트위원회가 경쟁 과열을 막기 위해 공모제를 실시하지 않겠다고 밝혔으나 '진화'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김관용 경상북도 지사는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유치 당위성을 설명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최양식 경주시장과 남유진 구미시장 등 지자체장과 백성기 포스텍 총장, 이인선 계명대 부총장 등의 인사들도 '총출동'했다.

경상북도는 경북과 울산, 대구를 한데 묶어 과학벨트 후보지로 밀고 있다. 경주를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들어서는 거점지구로 삼고 나머지 시설들을 타 지역에 분산배치한다는 구상이다. 이 날 김 지사는 '국토균형발전'을 강조했다. 김 지사는 "경상북도 지역이 근대화에 많은 기여를 했지만 두뇌 부분이 빠져 첨단산업 동력이 없다"며 "수도권이 공룡화되고 있는데 과학벨트는 균형과 자생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과학벨트위원회에서 확정한 입지평가지표에 대해 "국내 학자들의 출퇴근용 지표가 아니냐"며 "전국이 KTX로 2시간내 생활권인데 국제공항 문제를 넣는 것은 이해가 안 된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입지평가지표에는 국제공항과 대도시 접근성, 시간 거리등을 포함하는 '국내 접근성 관련 지표'가 포함돼있다.


이밖에도 과학벨트 유치전에 가세한 지역은 더욱 늘어났다. 기존 충청권, 대구ㆍ경북권, 광주ㆍ전남권에 이어 경남 창원시와 부산 기장군까지 과학벨트를 유치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창원시는 14일 창원유치 당위성을 담은 제안서를 교육과학기술부와 과학벨트위원회에 재차 전달했다. 기장군은 18일 유치 의향을 밝히는 한편 19일 부산시에 과학벨트 입지신청을 마쳤다. 과학벨트 유치전이 '5파전'양상을 띠게 된 셈이다.

과학계에서는 과도한 유치전 때문에 기초과학 연구개발 강화라는 과학벨트 본연의 목적이 뒷전으로 물러나게 됐다고 지적하고 있다. 각 지자체가 과학벨트 조성을 국토균형개발 관점에서 접근하며 갈등을 촉발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날 간담회에서 이인기 한나라당 경북도당위원장이 "동남권신공항 백지화로 대구와 영남 주민들의 상실감이 크다"고 발언한 데에서도 이같은 시각이 드러난다. 과학벨트 정책개발에 참여해 온 한 관계자는 "과학벨트를 국토균형개발 사업으로 인식하면 지역별 다툼이 심해질 수 밖에 없다"며 "정치갈등으로 비화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김상주 과학벨트위원회 부위원장은 "과학벨트 사업을 건물을 짓는 지역개발 사업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취지를 잘못 이해한 것"이라며 "과학벨트 사업은 특정 지역주민에게 혜택을 주는 것이 아니라 국가 전체에 혜택이 돌아가는 사업"이라고 부연했다.




김수진 기자 sj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