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한폭탄된 PF'..대형건설사마저 앗아갈 지경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부동산PF대출규모 38조원, 연체율 6.6%짜리 ‘시한폭탄’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고름이죠. 놔두면 커지고 어설프게 건드리면 더 커지고 뿌리까지 뽑으면 아프지 않겠습니까.”


LIG건설과 삼부토건의 잇따른 법정관리를 지켜본 한 대형건설사 주택사업부 임원이 PF(프로젝트파이낸싱)를 두고 한 말이다.

건설업계가 'PF'라는 시한폭탄으로 공멸 위기다. 대형건설사마저 앗아갈 지경에 이르자 종합적인 관리 프로그램이 마련돼야한다는 의견이 터져나오고 있다.


건설사들이 안고 있는 PF부실 문제는 언젠가는 반드시 터지는 폭탄이다. 지난 1월 동일토건을 시작으로 월드건설, 진흥기업, LIG건설에 이어 12일 삼부토건까지 중견건설사들이 주저앉은 것도 이 때문이다. 사업추진을 위해 금융권으로부터 끌어온 PF가 되레 이들의 목줄을 죈 셈이다.

부동산PF부실채권을 정리하겠다고 나선 금융권의 움직임도 한 몫하고 있다. 삼부토건의 법정관리 소식을 건설사들이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것도 같은 이유다. 위기설이 아닌 ‘현실’로 직면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서울소재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시장이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는데다 먹거리는 줄어들고 경영은 더욱 힘들어져 이제는 어쩔 도리가 없다”며 “최근 살아나고 있다는 청약시장에 발을 내밀고 싶어도 PF가 쉽지 않아 이러지도 저러지고 못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더 큰 문제는 PF에 성공해도 시장이 받쳐주질 못해 수익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를 버티지 못한 건설사들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선택하고 있는 것도 같은 연유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부동산 PF대출규모는 38조원이다. 은행권의 리스크 관리 움직임에 52조원에 달했던 2008년말보다 10조원 이상 줄었다. 반면 같은기간 주택사업자는 6000여개에서 4000여개로 크게 감소했다. 금융권의 PF문제가 해결되는 대신 건설사들이 쓰러지고 있는 것이다.


대출규모는 줄어든 반면 연체율도 급등했다. 지난 2월말 기준 PF대출 연체율은 6.67%로 4.87%에 그쳤던 1월보다 2% 가까이 치솟았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었던 2009년말 1.84%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3배 넘게 증가했다. 부동산PF부실채권 역시 6조4000억원으로 1조2000억원을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5배나 늘었다. 이는 총 부실채권의 16%에 해당하는 것으로 2.32%를 기록했던 2009년보다 7배나 높다. 몸집이 큰 대형사들을 제외하고는 PF대출 압박을 피할길이 없다는 이야기다.


저축은행들이 안고 있는 PF대출규모도 시한폭탄이다. 지난해말 기준으로 이미 전국 370여개 사업장에 12조4000억원에 달하는 PF대출금이 투입된 상태다. 하지만 은행들이 경영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PF대출에 날을 세워 건설업계를 더욱 몰아내고 있다.


한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올해말까지 부동산PF 부실채권 3조6000억원(57%)을 정리한다는 것은 결국 건설사들을 압박하겠다 뜻”이라며 “국내 모든 건설사가 PF사업장을 두고 있는 상황에서 이제는 누구도 안심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다른 주택전문건설업체 관계자 역시 “지금같은 시장 분위기에서는 중견건설사들 모두 PF에 자유롭지 못하다”며 “하지만 건설업계 줄도산이 금융권과 부동산시장은 물론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영향을 끼치는 만큼 PF관리에 대한 종합적인 시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