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구제역 매몰지 관정 143곳에 오염물질 검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전국의 구제역 가축 매몰지 인근 관정 가운데 기준치 이상의 오염물질이 검출된 곳이 143곳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29일 최근 가축 매몰지 주변 300m 이내 과정 3000곳의 지하수 수질검사를 벌여 1차 분석한 결과, 143곳에서 음용수 수질기준 이상의 오염물질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들 관정에서는 환경부가 가축 매몰지 지하수 오염 분석에서 기준으로 삼는 질산성 질소, 암모니아성 질소, 염소이온, 대장구균 등 4개 항목 중 2개 이상 분석치가 동시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지하수가 오염된 이들 관정에 대해서는 주민들이 이용하지 말도록 수질검사 결과를 통보하고, 추가적인 현장조사와 정밀 조사를 벌였다.

그러나 환경부는 이날 뒤늦게 기자회견을 열어 "매몰지 인근 지하수 관정 3000곳 중 143곳의 오염 지역을 정밀 조사한 결과 침출수로 인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축산폐수나, 화학비료에 의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침출수로 인한 오염 여부 판단이 쉽지 않은데다 검사기법 자체에 대한 논란도 일고 있어 혼란만 부추긴 꼴이 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유승호 박사팀은 최근 환경부가 쓰고 있는 기법이 아닌 새로운 기법(가축사체 유래물질과 총유기탄소 기준)을 개발,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의 매몰지 주변 지하수를 분석해 침출수로 인한 오염으로 판단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보완이 필요한 '간이 검증법'이라며 침출수 오염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원자력연구원 유승호 박사팀 관계자는 "기존 방식(환경관리지침)으로는 오염원이 침출수인지 축사 오폐수로 인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없어 환경부 용역을 받아 새 기법을 개발했다"면서 "검증 절차를 거쳐 학회에도 공식 보고된 검사기법"이라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명확한 오염원 파악을 위해 아미노산 분석과 유전자(DNA) 감식 등도 추가해 정밀 분석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승미 기자 askm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