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여의도 면적 4.7배..연안역 종합 관리방안 나온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정종환 장관 지시로 개발계획 수립..2월 전담조직 신설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던 연안역(해안선 인근 부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ㆍ활용방안이 만들어져 경기와 경남ㆍ전북 등지의 일부 해안이 레저ㆍ관광 휴양지로 개발된다.

국토해양부는 지난달 해양정책국 내에 해양관광팀을 신설하고 연안역 종합관리방안 마련에 착수했다고 3일 밝혔다.


연안역은 해안가 지적선 1km 이내 지역을 말한다. 우리 국토는 삼면이 바다지만 연안역 일부가 그 동안 특성에 맞게 개발되지 못하고 방치돼 오거나 극히 일부만 민간에 의해 개발됐다.

국토부는 이 같은 점에 착안해 연안역 개발을 활성화 해 관광자원화하거나 휴식공간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대상 후보지로 꼽히는 곳은 국유지나 지방자치단체 소유 부지로 전국 70여 곳에 이른다. 최대치로 여의도 면적(295만㎡)의 4.7배에 달하는 1400만㎡ 규모다. 공유수면(국가나 공공 단체 소유로 바다, 강, 하천 등의 수면)과 지자체 소유 부지를 뺀 국유지만 개발할 경우 면적은 줄어든다. 경기도 지역이 가장 많고 전남, 경남 순이다.


연안역 개발을 통한 관광자원화 계획은 정종환 국토부 장관의 지시에 의해 이뤄졌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업무보고에서 이명박 대통령에게 서비스산업발전방안을 보고했고 이에 따라 국토부에서는 서비스산업으로 분류되는 해양관광, 항공레저관광, 물류 산업 발전방안을 구상했다.


정 장관은 이중 연안역을 개발해 해양관광을 활성화 시키는 쪽으로 가닥을 잡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준비를 주문했다.


국토부는 정 장관의 지시에 따라 해양관광전담 조직으로 해양관광팀을 신설했다. 국토부는 해양관광산업을 발전시켜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외국인 관광객 유치 효과 등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전담조직으로 새로 만들어진 해양관광팀에서는 조만간 해양관광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해양관광산업 진흥을 위한 법체계 정비와 법률 개정에 나설 계획이다.


유휴 공간 활용해 관광에 필요한 편의시설과 숙박시설 등을 짓고 중장기적으로는 도시계획과 연계시켜 입지여건이 좋은 해안 주거지역을 외국의 유명 해안주택지처럼 명소화한다는 계획도 세우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유휴지 조사를 마치고 지자체와 논의에 착수했다"며 "다음 달부터 본격적인 진행에 들어가 연내에 1~2개 사업을 가시화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민진 기자 asiakmj@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