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강상류 구제역 매몰지 16곳 오염 가능성 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7초

[아시아경제 김승미 기자]2차 환경재앙, 구제역 침출수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한강 상류지역을 대상으로 한 1차 현장 조사의 첫 결과를 발표했다.


환경부는 11일 정부 현장조사단이 한강 상류지역의 구제역 감염 가축 매몰지 32곳을 조사한 결과 16곳에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환경부가 밝혔다.

한강상류 구제역 매몰지 16곳 오염 가능성 있다
AD

전날 조사단은 전날 경기 양평ㆍ남양주, 강원 춘천ㆍ원주 지역 매몰지 32곳을 조사했다.


이들 매몰지 가운데 11곳은 하천에 인근에 위치해 침출수가 유출될 경우 수질 오염이 우려됐다. 4곳은 빗물을 매몰지 바깥으로 배출할 추가 배관공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1곳은 매몰지 사면이 불안정해 옹벽 설치가 요구된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한강상류 구제역 매몰지 16곳 오염 가능성 있다 10일 현장조사 결과, 침출수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된 경기도 양평의 매몰지 <사진제공=환경부>


환경부 관계자는 "현장 조사에서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침출수가 유출되는 등 심각한 오염이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정확한 사항은 매몰지 반경 300m 이내의 수질 조사를 하고 있는 국립환경과학원의 조사 결과가 나와봐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환경부와 행정안전부, 농림수산식품부가 꾸린 정부 합동 조사단은 14일까지 경기 77곳, 강원 17곳, 충북 5곳 등 모두 99곳의 구제역 가축 매몰지에서 붕괴ㆍ유실 가능성과 침출수 유출 여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조사 대상지는 식수원으로 활용되는 한강 상류지역의 매몰지 2926곳 가운데 각 지방자치단체의 1차 조사에서 매몰지 유실이나 침출수 유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곳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달 24∼27일 낙동강 상류에 있는 경북 지역 매몰지 89곳의 현황을 정밀 조사해 매몰지 붕괴 또는 침출수 유출이 우려되는 61곳을 확인했다.




김승미 기자 askm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