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병종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잘 사는 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분 5초

[아시아경제 성정은 기자] 평균수명 80세를 맞이한 한국인. 은퇴 후 여생만도 30년에 가깝다는 오늘날에 많은 사람들은 나이 들어 잘사는 법을 고민한다. 어떤 이는 운동을 하기도 하고, 다른 이는 전원 생활을 즐기기도 한다.


김병종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잘 사는 법'
AD

여기 나이 들어 더 잘 사는 방법을 터득한 예술가가 있어 소개한다. 어느덧 인생 2모작의 후반기를 맞은 김병종(58) 서울대 미대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화가이자 작가인 그가 깨달은 비법은 누구나 한 가지 예술에 심취하면 인생을 즐긴다는 게 무엇인지 알게 된다는 것이다.

'바보 예수'를 10여년, '생명의 노래' 시리즈를 15년 그려온 그는 몇 년 전부터 '길 위에서'란 주제로 그림을 그려왔다. 여행을 다니면서 느낀 감성을 담아낸 '길 위에서' 작품들은 그가 말한 잘 사는 법에서의 '예술'이 어떤 의미인지를 잘 보여준다.


김 교수가 말하는 예술은 아름답고 높은 경지에 이른 작품만을 뜻하는 건 아니다. 여행가서 보고 느낀 걸 기록하는 것도 삶을 풍성하게 만드는 예술이 될 수 있다는 게 그의 말이다.

"예전에 이란, 이라크 지역을 힘들게 여행했는데 당시엔 풍경에 좀 몰두해보자는 생각으로 아무 것도 기록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랬더니 그 때 여행한 기억들은 다 사라져버리더라구요. 어디를 가서 무얼 보든 기록했던 것만이 내 것으로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겪은 일들을 계속 기록하고 그리다보면 그만큼 삶은 더 풍성해집니다."


지난해 말 아시아경제지식센터 인문학 최고 경영자 과정에서 강연자로 나선 그는 말을 잠시 멈추더니 이내 노래하는 쿠바 사람들을 그린 그림을 꺼내보였다. 60~80대 노인들이 모여 노래를 부르는 부에나비스타소셜 클럽이 좋아 쿠바에 갔었다는 그는 어떻게 나이든 사람들이 이만큼 열정적으로 살 수 있는지 의문을 넘어 경이감을 느꼈다고 했다.


김병종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잘 사는 법' 김병종 교수의 '길 위에서' 시리즈의 한 작품. 건물은 낡고 자동차는 고물인데도 모이면 노래하고 춤추면서 인생을 즐기는 쿠바 사람들의 모습을 그렸다. 김 교수는 이 그림을 소개하며 행복하게 사는 쿠바 사람들의 모습이 정말 아름다웠다고 했다.


그는 머리 장식 하나에도 색채를 빠뜨리는 법이 없는 쿠바 사람들과, 가난하고 자동차는 고물인데도 다 같이 모이면 춤추고 노래하며 행복한 삶을 사는 쿠바 사람들이 얼마나 아름다운 삶을 즐기고 있는지에 대한 말도 잊지 않았다. 김 교수는 이렇게 보고 느낀 것들을 기록하고, 또 그리면서 예술적 경험을 쌓는 게 뇌 건강에도 좋고 심리적 기능 발달에도 좋다며 말을 이어 나갔다.


"예술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게 기쁨과 활력이 돼 삶 전반에 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경영학의 대가로 알려진 피터 드러커는 일본 도자기사의 세계 최고 전문가이기도 합니다. 그에게 누군가 경영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쌓을 수 있는 이유가 뭐냐고 물었더니 이렇게 답했다고 합니다. 경영학은 예나 지금이나 지겹습니다. 제 삶의 기쁨은 일본 도자기 연구에 있습니다. 도자기 연구에서 얻은 기쁨과 활력으로 경영학을 공부하는 것입니다."


'길 위에서' 시리즈 작품들이 나이 들어 잘 사는 법을 가르쳐준다면 김 교수가 그린 또 다른 시리즈 '바보 예수', '생명의 노래'는 진짜 '잘 사는' 삶을 위해선 어렸을 때의 '체험'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려준다. 13살 이전에 어떤 음식을 즐겨 먹었는지, 어떤 데 관심을 가졌는지가 평생을 가기 때문에 아이들이 어렸을 때 하는 경험이 정말 중요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열두 살에 아버지를 여읜 그는 교회 주일학교에 다니면서 아버지의 빈자리를 채울 수 있었다고 말한다. 시골 공터에서 아이들과 어울려 놀다가 해가 뉘엿뉘엿 질 때면 다른 아이들은 모두 집으로 돌아가는데 자신만 혼자 남아 멀뚱히 하늘을 바라볼 때 외로움을 많이 느꼈다고 했다. 그는 아버지를 여읜 채 주일학교에서 만나는 '하나님 아버지'를 다른 아이들과 달리 친근한 실존으로 느꼈기 때문에 '예수'를 주제로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고도 했다.


김병종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잘 사는 법' 김병종 교수의 '바보 예수' 시리즈의 한 작품. 어린 시절 주일학교에서 만난 '하나님 아버지'를 진짜 '아버지'처럼 느꼈다는 김 교수는 예수의 모습이 왜 8등신에 미끈한 남자로만 그려지는지가 의문이라고 했다. 예수를 옆집 아저씨처럼 친근하게 그려낸 그의 작품, '황색 예수'


김 교수가 그린 예수의 모습은 8등신의 미끈하고 잘생긴 남자가 아니라 훨씬 친근한 남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예수를 우리 친척의 모습으로 그려본다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서 그렸다는 '황색 예수'는 정말로 옆 집 오빠 혹은 친척 오빠의 얼굴을 한 예수님의 모습이었다.


김 교수의 유년시절, 아버지의 빈자리를 채워준 건 주일학교에서 만난 하나님 아버지만이 아니었다. 자신을 시골 태생이라고 소개하는 그는 공부에 대한 부담 없이 산과 들을 다니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맘껏 느낀 것도 아버지의 부재를 희석시켜 준 고마운 삶의 기억이라고 했다.


'생명의 노래' 시리즈 작품들은 그가 소나무 숲에 누워 잠을 잤던 기억들, 그 때 느낀 흙의 포근함, 땅에서 느낀 모성과 부성을 그리거나 강물에 잠겨서 해를 바라봤을 때의 영롱한 그 느낌을 행복하게 담아내는 등 그가 자연의 친구들과 어울리며 느낀 감정들을 그렸다.


김병종 서울대 교수가 말하는 '잘 사는 법' 김병종 교수의 '생명의 노래' 시리즈의 한 작품. 시골태생인 김 교수는 어린 시절 산과 들을 뛰어다니며 자연의 아름다움을 맘껏 느낀 게 평생을 두고 좋은 경험으로 남을 것이라고 했다. 산 속 어딘가에 누워 잠을 잤던 기억을 담아낸 이 그림을 보여주며 그는 그 때 흙에서 따뜻한 모성과 부성을 느꼈다고 말했다.


어딘가에 누워 행복한 표정으로 잠을 자고 있는 소년의 모습을 그린 그림을 내보이며 그가 말했다. "산속을 돌아다니다가 근처 어딘가에 누워 잠을 잤던 기억이 짙게 남아있습니다. 그 흙의 원초적인 느낌들, 포근한 엄마 품 같은 숨소리, 땅에서 느낀 부성의 느낌들을 가만히 떠올려보면 제가 번듯한 대도시에서 태어났다면 화가가 될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는 이어 자신의 그림을 보면 어린 시절의 경험, 유년의 색채가 그대로 남아있는 걸 볼 수 있는 데 바로 여기서 13세 이전의 체험이 평생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잘 사는 삶'을 위해선 어렸을 때 무엇을 보고 느끼느냐가 중요하다는 말과 함께 나이 들어서는 예술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이 잘 사는 법이라는 말을 한 번 더 힘주어 말하면서 그는 이날 강의를 마쳤다.


김병종 교수의 강의를 비롯한 김용택 시인, 서지문 고려대 영문학과 교수 등의 인문학 강좌는 내달 22일부터 5월까지 아시아경제지식센터 2011 인문학 최고 경영자 과정에서 만나볼 수 있다.




성정은 기자 je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