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슴 졸이는 한나라, 여론 동향에 촉각 곤두세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한나라당이 12.31 개각에 따른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가슴을 졸이고 있다.


특히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의 고액급여와 정치적 중립성 문제 등을 놓고 야당의 공세가 집중되면서 혹시나 지난 8.8 개각 때와 같은 낙마 사태가 되풀이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와 신재민, 이재훈 장관 내정자의 낙마라는 지난해 여름의 악몽이 되풀이될 경우 새해 예산안 처리 이후 정국 주도권은 완전히 야당으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도 예정돼 있지만 야당의 칼끝은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낸 정동기 후보자에게로 집중돼 있다. 야당은 정 후보자가 법무법인에 재직하는 7개월 동안 월평균 1억원의 급여를 받았다는 점과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낸 경력이 역시 고도의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이 요구되는 감사원장직을 수행하기에는 부적격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한나라당은 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와 관련, 철저한 검증을 강조하면서도 야당의 인신공격과 정치공세는 단호하게 맞선다는 방침이다. 야당의 지명철회 주장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는 만큼 정면돌파를 선택하겠다는 의지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정 후보자와 관련, "도덕적 하자가 있으면 철저하게 검증해야 한다"면서도 "평생 닦은 경력으로 월급을 받았는데 그걸 옳지 못하다고 하면 공직자는 평생 가난하게 살라는 말밖에 더 되느냐"고 말했다. 이는 정 후보자의 고액급여는 위법이 아니고 세금을 낸 만큼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


하지만 속내는 고민이 깊어지는 양상이다. 정 후보자의 고액급여 논란이 국민정서법을 건드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안형환 한나라당 대변인은 이와 관련, "서민들 입장에서는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있다"며 걱정하는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더구나 정 후보자의 고액급여 논란과 전관예우 문제와 결합하면서 현 정부가 주요 국정기조로 내세운 공정사회 구현과도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또한 당 일각에서는 청와대 민정수석 출신의 인사가 과연 감사원장 후보자로 적합한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표시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개혁성향 초선의원들의 모임인 '민본 21' 워크숍에서는 이같은 지적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곤 기자 skzer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