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유통萬想]시장점유율 '갑론을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아시아경제 이영규 기자]국내 식음료 업계가 닐슨컴퍼니코리아의 제품별 시장점유율 자료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습니다. 한쪽에서는 국내 유통채널을 가장 큰 규모로 반영하고 있는 글로벌 정보조사 기관의 분석인 만큼 신뢰성이 충분히 있다는 입장입니다. 이에 반해 일부 업체들은 '단순자료' 이상의 가치를 갖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같은 논란이 빚어지는 원인은 무엇 때문일까요.

우선 조사 대상 점포에 대한 '제약'을 꼽을 수 있습니다. 닐슨은 식료품의 시장점유율을 산정할 때 전체 유통채널중 대형할인점은 홈플러스와 롯데마트 판매량을 기준으로 산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이마트 수치가 추정치 형태로 포함됩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업체들이 대형마트 1위인 이마트의 추정치를 문제 삼고 있는 것이지요. 보다 정확한 점유율 산정을 위해서는 이마트의 직접적인 수치가 포함돼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마트는 현재 개별 기업의 '프라이버시'를 이유로 닐슨측에 자료 제공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대형할인점 1위 업체인 이마트 판매량이 추정치로 산출되다 보니 특정 할인점에 판매 집중도가 있는 일부 업체들이 우려하고 있는 것이지요.

특히 업계 일각에선 홈플러스나 롯데마트의 실적이 점유율 산정에 큰 영향을 미치다보니 '밀어내기' 판매 등 불공정 관행도 잇따르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제품이 많이 팔려야 시장점유율이 올라가고, 이는 제품의 이미지와도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최근 점유율 경쟁이 심한 상품으로는 두부(풀무원- CJ제일제당), 고추장(대상-CJ제일제당), 카레(오뚜기-CJ제일제당) 등이 있습니다.


시장점유율은 소비자들의 식품 선택에 기호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해야 합니다. 아울러 작은 이득을 챙기기 위해 시장점유율을 악용하는 일부 기업들의 '상거래 관행'도 사라져야 합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