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2년부터 선진국 중 물가상승률 최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2012년부터 선진국 중 물가상승률 최고
AD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최근의 장바구니물가에서 시작한 물가상승추세가 향후에도 지속되면 우리나라는 오는 2012년부터 선진국 가운데 물가상승률이 가장 높은 수준에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또 중장기(2010∼2015년)기간 중 정부가 예상하는 경제성장률 5%달성도 어려워지고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진입도 힘들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은 최근 '2010∼2015년 장기전망 데이터'에서 우리나라의 물가 상승률은 현재 3.1%로 33개 선진국 가운데 세 번째로 높은데 이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0%를 기록하면서 최고의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분석했다. IMF가 선진국으로 분류한 33개국의 향후 평균 물가 상승률이 '1% 중반∼2% 초중반'대로 전망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의 물가 상승률은 매우 높은 수준이어서 정부의 중장기 경제운용에서 물가가 장애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올해 물가는 아이슬란드(5.9%), 그리스(4.6%)에 이어 영국과 함께 3.1%로 3위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됐다. 내년에도 물가는 3.4%나 올라 뉴질랜드(5.5%), 아이슬란드(3.5%)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이 오를 전망이다. 2012년에 들어서면 물가 상승률은 3.0%로 호주와 함께 선진국 가운데 가장 높고 2013년에는 3.0%, 2014, 2015년 3.0%로 2014년에는 단독 1위, 2015년에는 슬로베니아와 함께 공동 1위에 오르게 된다.


우리나라의 올해 1인당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만164달러로 2만달러를 돌파하지만 2015년까지 꿈의 3만 달러 돌파는 어려워 보인다. 1인당 국민소득은 내년 2만1529달러에서 2012년(2만2855달러), 2013년(2만4245달러), 2014년(2만5832달러), 2015년(2만7060달러) 등 소폭 상승이 예상됐다. 반면 일본의 경우 1인당 국민소득은 올해 3만9740달러에 이어 2015년에는 5만1662달러로 5만달러 고지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됐다.

한편, 우리나라의 명목 GDP는 올해 9863억달러에 이어 내년에 1조달러(1조563억달러)를 돌파하고 2014년(1조2792억달러), 2015년(1조3713억달러) 등 매년 소폭 증가가 예상됐다. 경상수지는 올해 260억달러 흑자, 내년 306억달러 흑자, 2015년 281억달러 흑자 등 향후 5년간 대규모 흑자 행진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됐다. 실업률은 올해 3.1%, 내년 3.4%까지 오른 뒤 2015년까지 매년 3.0%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경호 기자 gungh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