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융권 M&A 대전 막올랐다'

하나금융 유력..KB금융 가능성도 무시 못해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박민규 기자] 정부가 개략적인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 방안을 내놓으면서 금융권의 인수ㆍ합병(M&A) 전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은행권에서는 우리금융을 가져가는 곳이 리딩뱅크가 되기 때문에 치열한 물밑 경쟁이 예상된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지난달 30일 공개경쟁입찰을 통한 매각이라는 우리금융의 민영화 방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지분 일괄매각이나 부분매각 등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하지 않았다. 이는 인수자가 제시하는 안을 들어보고 가장 효과적인 안을 선택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가능한 시나리오는 크게 세가지로 압축된다. 예보가 보유한 지분 56.97%를 일괄매각하거나 분산매각하는 방안과 주식 맞교환을 통한 합병 등이다.

일괄매각의 경우 경영권 프리미엄을 얻게 되므로 정부 입장에서는 가장 최상의 시나리오다. 하지만 국내 금융지주사들 중 7조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되는 매각대금을 마련할 수 있는 곳이 사실상 없다는 게 문제다.


분산매각의 경우 가장 손쉬운 방법이긴 하지만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충족시키기 힘들다. 주인 없는 은행이 돼 경영의 영속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단기실적에는 급급하는 폐단이 되풀이될 가능성도 높다.


금융권에서는 다른 금융지주사와 주식 맞교환을 통한 방안이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금융 지분의 일부만 매입하고 나머지는 주식 맞교환으로 합병을 추진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가장 유력한 후보자는 하나금융지주다. 어떠한 형태로든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이 합병할 경우 총 자산 521조원의 메머드급 금융지주가 탄생한다.


하나금융은 이미 우리금융 인수에 나서기로 하고 인수방안 등 구체적인 연구에 착수했다.


초 메머드급 금융지주 탄생은 KB금융지주와 우리금융의 합병이다. 두 회사가 합친다면 총 자산은 652조원 규모로 외형에서는 국내 금융지주 간 합병에서 가장 큰 덩치가 된다. 하지만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이 이미 여러 차례 "당분간 우리금융 M&A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혀 일단 가시권에서는 멀어졌다.


어 회장은 2일 기자간담회에서도 "적자를 보고 있는 KB금융이 어떻게 남의 회사를 흡수합병 하겠다고 나서겠냐"고 말했다. 하지만 "건강해진 이후 고려해 보겠다"고 단서를 단 데다 개인적으로도 은행 대형화의 적극적인 지지자여서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


리딩뱅크 프리미엄에 대한 포기도 쉽지 않다. 당장은 어렵겠지만 우리금융 인수작업이 지지부진해져 시일이 길어질 경우 도전장을 내밀만도 하다.


역시 인수후보로는 분류되고 있지만 신한금융지주의 참여 가능성은 M&A를 부정한 KB금융보다 오히려 낮다. 이백순 신한은행장은 "올해는 M&A보다는 재무구조 등 내실다지기에 주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같은 발언에도 불구하고 신한금융은 시너지가 약한 우리금융보다는 외환은행 인수에 더 관심을 두고 있다.


우리금융 M&A와 외환은행 매각, 산업은행 민영화 등이 맞물려 올 하반기 금융권 M&A는 뜨거운 열기를 내뿜을 전망이다.


김민진 기자 asiakmj@
박민규 기자 yushi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