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 막을 수 있었던 인천대교 버스참사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지난 3일 인천대교에서 발생한 버스 추락 참사로 12명의 승객이 소중한 목숨을 잃었다. 특히 가족 단위의 희생자들이 많아 주변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그런데 늘 이런 대형 인명 사고가 일어난 후 그 원인을 되짚어 보면 충분히 사전에 막을 수 있었거나, 피해를 줄일 수 있었던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래서 시민들은 이런 사고가 일어 난 후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는 이제 좀 그만하자"는 불평을 한다.


이번에도 마찬가지였다. 사고가 일어난 인천대교는 설계·시공 등에서 세계 최첨단 기술을 동원해 각종 자연재해 및 교통 환경에 대비한 안전장치를 마련했다고 자부한 곳이었다.

하지만 인천대교를 자주 통행하는 사람들 사이에선 생각보다 더 심각한 기상 악화 상황이 자주 이어지는 반면 대비는 허술한 것 같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었다.


아니나 다를까, 12명의 소중한 목숨이 희생됐다.


우선 '최첨단'을 자랑했던 인천대교의 교통안전시스템이 예상보다 허술했다는 것이 사고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고장난 차량이 15분 이상 방치돼 있는데도 불구하고 인천대교 측에선 알지도 못했다고 한다.


"카메라를 다른 쪽으로 돌려 놨었기"때문이라고 한다. 고장 차량만 제때 치웠으면 없었을 사고였다.


인천대교는 해상 교량의 특성상 안개, 돌풍, 폭우, 폭설 등이 잦은 곳이어서 감속 및 안전 운행을 위한 장치가 필수적이지만, 부족했다.


기자도 인천대교를 이용하다 짙게 낀 안개로 인해 사고가 난 장소인 톨게이트 근처에서 아마터면 5m앞의 요금소를 인식하지 못하고 들이받을 뻔한 적이 있을 정도다.


사고가 난 날도 안개가 끼어 있었지만 사고 버스는 100km를 넘는 속도로 질주하다 사고를 냈다고 한다.


안개 등 악천후에 대비해 차량의 속도를 제한하고 안전 통행을 보장하도록 하는 차량 유도등, 속도 제한 장치 등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부실 시공도 또 다시 원인으로 등장했다. 사고 버스가 추돌한 가드레일은 땅속에서 받쳐주는 지주대가 규정 깊이보다 얕게 매설돼 있었다는 것이다.


차량의 추락을 막아주는 '마지막 안전장치'인 가드레일 공사가 부실했다는 것은 큰 문제다. 인천대교처럼 10m상공에 매달려 있는 도로에서 사고 발생시 차량의 추락은 대형 인명 피해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안전판을 세우지 않은 고장 차량 운전자,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은 버스 운전자 등 운전자들의 안전 의식 부재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에 발생한 교통사고는 23만여 건으로, 5838명이 죽고 36만여 명이 다쳤다고 한다. 교통 안전 대책 마련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젠 제발 소 잃기 전에 외양간부터 고치자.




김봉수 기자 bskim@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