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일 뉴욕장이 하반기 운명 가른다

미 고용지표 발표 후 안도랠리 가능성 배제못해

[아시아경제 김지은 기자] 결전의 날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미 고용지표가 발표되는 2일(현지시각) 뉴욕증시 흐름은 국내증시를 포함한 글로벌 증시의 하반기 운명을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 고용지표가 초미의 관심사가 된 것은 최근 발표된 미 경제지표가 일제히 부진한 흐름을 보였기 때문이다. 주택과 소비지표가 충격적인 수준으로 발표되고 그나마 믿었던 제조업 지표까지 삐걱거리는 모습이 나타나자 투자자들은 사실상 마지막 보루와도 같은 미 고용지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시장 컨센서스는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고용지표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비농업부문 고용이 13만명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올들어 첫 감소세다. 특히 지난달 인구 센서스 인력충원 효과가 사라지면서 전월대비 큰 폭으로 악화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뉴욕증시가 어떤 반응을 보일지가 관건인 셈이다.


현재 미 증시는 이같은 흐름을 선반영했다는 데 무게가 실리고 있다. 다우지수는 전날까지 6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보였는데 이는 지난해 1월 중순 이후 최장기간 하락행진이다. 나스닥과 S&P500지수도 다우지수와 함께 연저점 행진에 동참하며 3대지수가 일제히 주저앉은 모습이다.

하지만 미 증시 급락이 오히려 전화위복이 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주식시장이 잇따라 연저점을 경신하며 미 경제지표 악화 가능성을 충분히 반영한 만큼 오히려 안도랠리가 펼쳐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미 증시가 연저점을 경신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연일 낙폭을 줄여가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전일에도 뉴욕증시는 장중 빠른 반등을 보이며 낙폭을 상당히 줄여낸 채 거래를 마감했는데 이는 주가가 빠질수록 저가매수 인식이 강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우의 선행지수 격인 다우운송지수가 반등에 성공했고 멕시코와 브라질 증시도 상승세를 보였다. 5일째 하락하던 미 국채 수익률이 상승세로 돌아선 것 역시 주식시장이 빠질 만큼 빠졌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하지만 상황이 긍정적으로 전개되지 않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난 밤 발표된 5월 미결주택매매는 전월대비 무려 30% 폭락하며 투자자들을 공황상태로 몰고 갔다. 당초 세제혜택 종료 여파로 주택지표가 크게 부진할 것이라는 인식이 시장에 확산된 상황이었지만 실제 결과가 전망치를 크게 하회하면서 미 증시를 장중 휘청거리게 만들었다.


때문에 고용지표가 부진할 것이라는 인식이 어느 정도 반영됐음에도 불구하고 이 수치가 예상치를 크게 하회할 경우 오히려 패닉장세가 연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는 국내증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증시는 지난 이틀간 눈부신 전약후강 장세를 보이며 여타 글로벌 증시에 비해 낙폭을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가 미 증시 반등 기대감이었다. 이미 연저점을 경신한 미 증시가 낙폭을 줄일 것이라는 기대감에 개인 투자자들과 연기금의 적극적인 매수세가 이어졌던 것.


하지만 이미 두차례 반등에 실패한 미 증시가 이날 고용지표 발표후 하락세를 이어간다면 개인 및 연기금의 투자심리가 크게 훼손되며 그나마 국내증시를 떠받히던 매수세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오는 5일(현지시각) 미 증시는 독립기념일 연휴로 휴장한다. 3일 고용지표 발표 후 한차례 쉬어가는 모습을 보이는 셈인데 이 때 국내증시를 포함한 여타 글로벌 증시의 반응이 향후 장세를 가를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김지은 기자 jekim@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