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창업주DNA]"우유사업, 농민엔 이익·국민엔 건강"…公益 실천한 '큰어른'

재계 100년-미래경영 3.0 창업주DNA서 찾는다
<16> 매일유업 김복용 창업주


50세 넘어 '신선한 도전' 1971년 창업
장사가 아닌 사업 "돈보다 사람 우선"
12년째 특수분유 생산 '아름다운 실천'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자신의 임종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일까. 2005년 12월, 김복용 매일유업 창업주(1920년생)는 편치 않은 몸을 이끌고 전북 고창을 찾았다. 이 지역은 김 회장에게 '제2의 고향'이나 다름없는 곳이었다.


해방 전후 월남한 김 회장은 1970년대 고창에서 멀지 않은 광주에 처음 공장을 세웠고, 말년에는 이 곳에 자신의 평생 숙원사업이던 유기농 사업을 위해 상하면을 점찍은 터였다.

그는 이곳에 유기농 목장을 운영하기 위해 수년전부터 이 지역 낙농가들을 설득하고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었다. 그렇게 그곳을 다녀간 후 며칠 만에 김 회장은 숨을 거뒀다.


2년이 넘는 시간이 흘러 이곳 지역명을 그대로 새긴 유기농우유 '상하'가 처음으로 세상에 나왔다. 상하는 '하늘'(上)과 '땅(下)'이 맞닿아 있다는 의미에서 유래된 지역명으로 김 회장의 유지가 깃든 이름이다.


◆쉰 넘어 새로운 도전="우유를 생산해서 농촌을 잘 살게 하고 유제품을 생산해 국민 식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다시 그 돈이 유대(乳代)로 농촌에 되돌아가는 순환과정이 더 없이 이상적인 사업이란 느낌이 들었다. 또 매년 보릿고개 때마다 온 국민이 굶주림으로 고통받던 그 시절, 낙농업은 농민들에게 소득을 안겨 주고 전 국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공익사업이었다."


1971년, 진암(晋巖) 김복용 매일유업 초대 회장은 정부가 운영하던 투자기업 한국낙농가공 주식회사를 인수했다. 당시 50세가 넘은 김 회장이 이전까지 전혀 손댄 적이 없는 농축산 분야였다. 세계은행과 우리 정부와의 협정으로 김 회장이 인수하기 2년 전 설립된 이 정부투자기업은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직전까지 제분회사 대표를 지냈던 김 회장과 자금난에 허덕이던 한국낙농가공을 민간에 맡겨 제대로 운영해 보고자 했던 정부측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결과였다. 국내 굴지의 유가공업체로 인정받는 매일유업의 새로운 태동이었던 셈이다.



당시 정부측 대표로 김 회장 설득에 나섰던 이득룡 농림부 차관은 "한국낙농을 인수하는 일은 성공보다는 실패확률이 압도적으로 높았던 탓에 투자하겠다고 나서는 민간인이 아무도 없었다"면서 "결과적으로 김 회장이 인수했고, 이는 우리 나라 낙농업의 발전을 위해 크게 다행이었다"고 소회를 털어놨다.


조금이라도 돈을 더 벌겠다고, 돈 좀 있다는 이유로 김 회장이 아닌 다른 누군가 한국낙농을 인수했다면 오늘날처럼 국내 유가공사업이 발전할 수 없었다는 말이다. 공익을 우선시하는 김 회장의 신념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김 회장을 비롯해 당시 생겨났던 다양한 유가공업체들의 노력, 정부의 지원정책이 맞물리면서 60년대 말까지 1㎏에도 미치지 못했던 국내 1인당 연간 우유소비량은 80년대 10㎏, 2000년대 넘어서는 60㎏ 이상으로 늘어났다.


◆"공익(公益)위해 '장사'아닌 '사업'한다"=김 회장에게는 "사업은 많은 사람들이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한다"는 경영철학이 있었다.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위해 건강식을 제공할 수 있는 유가공 사업이 적임이라고 판단했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는 지난 2004년 발간된 사사(社史)에서 "낙농업은 처음부터 이윤추구와는 거리가 먼 사업이었다"면서 "사업이란 이윤창출과 함께 온 국민, 나아가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공익적인 무엇이 있어야 한다는 신념이 있었기에 낙농업에 발을 들였다"고 창업 당시를 회상했다.


올해로 12년째 계속 생산하고 있는 특수분유도 김 회장의 이런 생각에서 나왔다.


지난 1999년 처음 내놓은 8종의 특수분유는 이익은커녕 손해를 내고 있지만 올해는 물론 내년에도 계속 생산된다. 해마다 2만 캔 이상의 분유를 만들지만 실제로 팔리는 것은 2500여개 남짓.


나머지는 폐기처분하는데다 각종 연구개발비 등을 더해 지금껏 손실액수만 수억원에 달할 정도다. 해마다 특수분유를 만드는 시기에는 다른 공정을 중단하고 이 제품을 만드는 데 집중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손실에도 불구, 매일유업은 사훈인 '봉사'와 '신뢰'를 꾸준히 실천하고 있다. 선친의 뜻을 이어받은 김정완 매일유업 현 회장은 "힘들고 어려운 아이들의 건강이 우선"이라며 "힘이 닿는 한 계속 만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장사와 사업은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장사는 이기적이지만 사업은 공익적, 이타적이다. 사업가는 국민 복지와 국가발전에 기여한다는 사명감과 이상이 있는 까닭에 이 꿈의 실현을 위해 위험부담을 감수하면서 신명을 다 바친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최대열 기자 dychoi@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