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4대강 사업'으로 나루터 37곳 복원

한강 7곳, 금강 7곳, 영산강 12곳, 낙동강 11곳 등 관광자원 등으로 활용

[아시아경제 조민서 기자]4대강 살리기 사업을 통해 총 37곳의 나루터가 복원돼 관광자원 등으로 활용된다.


국토해양부는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공사 구간의 실시설계를 수행하고, 조선시대 한강 4대 나루터 중 하나였던 한강 이포나루를 비롯 4대강 사업구간내에 총 37곳의 나루터를 복원하기로 결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수계별 복원대상은 한강 이포나루, 양화나루 등 7곳, 금강은 황진나루지구내 합제나루광장, 왕진나루 좌·우안 나루터 등 7곳, 영산강이 사포나루, 승촌나루 등 12곳, 낙동강 덕남나루, 배나루, 발산나루 등 11곳이다.


이 중 금강 백제나루터, 낙동강 덕남나루 등 29곳은 목재(데크) 선착장으로 조성해 고전적인 느낌을 재현할 계획이다. 한강 찬우물 나루, 양촌나루, 양화나루 등 3곳은 콘크리트 선착장으로 시공된다.

문화유적지인 낙동강 33공구(상주보) 구간의 강창나루와 금강 6공구(부여보) 창강나루, 7공구(금강보) 웅진지구내 나루터는 역사적 가치를 고려해 원형 그대로 보전한다.


국토부는 지난해 수립한 기본계획 단계에서 고고학적 분석결과 역사적 가치가 있거나 지방자치단체가 복원을 희망한 곳 총 53곳을 복원 대상에 포함했으나 이번 현장조사를 병행한 실시설계 과정에서 사정이 여의치 않은 16곳을 제외하고 37곳만 복원키로 했다.


복원대상에서 제외된 곳은 나루터의 형태나 위치, 기능을 상실했거나 관광자원 등으로 활용이 어려운 곳, 하천환경정비사업이 시행될 곳이라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현재 확인되지 않은 옛 나루터 자리도 문화재청 및 환경단체 등과 협의해 사업시행 과정에서 최대한 복원할 방침이다.


나루터 복원이 완료되면 앞으로 나주 영산강에서 운항중인 '황포돛배'가 4대강 전역에 걸쳐 운항돼 관광자원으로도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조민서 기자 summe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