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속노조·현대차노조도 타임오프 무효투쟁키로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한국노총에 이어 민주노총 금속노조와 현대차노조가 4일 유급 노조전임자의 근로시간면제한도(타임오프) 의결에 대해 원천무효 선언과 함께 대정부 투쟁에 나서겠다고 했다.


금속노조와 현대차지부는 이날 각 각 발표한 성명서를 통해 "근면위 표결에 대해 원천무효 선언과 동시에 현장에서 이 결정을 무력화하기 위한 투쟁에 본격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타임오프한도가 7월부터 시행될 경우 금속노조 소속 기아차, GM대우차 지부는 당장 각각 19명, 14명으로 풀타임 유급 노조전임자를 강제로 줄여야 한다. 현대차지부는 현 단협 유효기간 만료일인 내년 4월부터 24명으로 줄어든다. 2012년 7월 이후부터 현대차와 기아차는 18명으로 더 줄여야 합니다. 2012년 7월부터 18명의 풀타임 유급 노조전임자로 노조를 운영하게 되면 현대차 조합원 수 4만5000여 명에 대입해 계산해보면 2500명 당 한 명씩만 노조전임 활동을 사실상 보장받게 되는 것. 현대차지부는 울산, 아산, 전주, 남양연구소, 모비스, 판매, 정비 등으로 조직이 구성돼 있다. 판매 및 정비 쪽은 각각 약 7000여 명, 27000여 명의 조합원이 시도 단위로 20곳(분회는 450 여 개)과 23곳으로 나뉘어져 있다.

금속노조는 "도대체 현대차지부 전체 18명의 풀타임 유급 노조전임자를 어떻게 쪼개 활동케 하란 말인가"라면서 "한마디로 노조활동 하지 말라는 말과 다를 바 없다. 기아차나 GM대우차도 별반 다르지 않다"고 주장했다.


금속노조는" 법과 절차 뿐 아니라 현실마저 모조리 무시하고 결정된 타임오프 제도를 절대 인정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면서 노조법 자체도 인정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어 "2010년 임금인상 및 단체협약갱신 요구에 노조전임자 처우보장 및 노조활동보장 등의 요구를 넣어 이 문제를 '노사자율' 원칙에 입각해 사용자와 합의해 나갈 것"이라며 "그 합의대로 노조를 운영하겠다"고 했다. 이어 민주노총 차원의 대정부 투쟁 방침에 발맞춰 오는 12일 대규모 상경투쟁과 지자체 선거투쟁 및 6월 총력투쟁을 펼칠 계획도 밝혔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이경호 기자 gungh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