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휘경 3구역에 뉴타운 최초 역세권 시프트 공급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서울 이문·휘경일대에 뉴타운 최초로 역세권 장기전세주택(시프트)이 공급된다.


서울시는 이문·휘경 재정비촉진지구 내 휘경3구역이 재정비촉진지구 역세권 밀도 조정 기준을 최초로 통과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 1월부터 시행 중인 재정비촉진지구 역세권 밀도조정기준은 재정비촉진구역 중 역세권(승강장중심반경 500m이내)에 해당되는 구역에 한해 용도지역상향, 용적률 완화 등를 통해 주택공급 확대를 유도하고 개발이익의 일정 부분을 시프트로 환수하는 정책이다.

휘경3구역은 이에 따라 제2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돼 종전 240% 용적률도 300%로 높아졌다. 용적률 상향 조정으로 공급 아파트 가구수도 기존 1011가구에서 1280가구로 269가구가 늘었다. 늘어난 269가구는 중·소형아파트로 건립되며 이 중 절반 이상인 140가구는 시프트로 추가 공급된다. 역세권 내 시프트 공급은 이 지역이 처음이다.


휘경3구역의 역세권 건축물 밀도계획 조정기준 통과로 이문 2·3·4구역과 휘경 2구역의 역세권 개발에도 가속도가 붙게 됐다. 앞으로 이문·휘경 재정비촉진지구에는 시프트 약 2300가구가 추가 건립될 예정이다.

또 상계(4·5구역), 길음(2구역)재정비촉진지구도 '역세권 건축물 밀도계획 조정기준'을 준비 중에 있어 약 1250가구의 시프트 추가공급이 예상된다.


임계호 서울시 뉴타운사업기획관은 "이문·휘경 재정비촉진지구내 역세권 용적률 상향조정은 뉴타운 역세권 시프트 공급의 신호탄"이라며 "현재 역세권에 해당하는 뉴타운은 11개 지구로, 앞으로 2만3000가구의 시프트 공급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휘경3구역 역세권 밀도 조정 기준안에 따르면 이 일대에 지상7~35층 아파트 12개동 총 1280가구가 들어서게 된다. 또 역세권 밀도기준 적용에 따라 증가하는 주거부문 연면적의 3%이상은 주부취미교실, 문고학습실, 보육시설, 독서실, 에어로빅 센터 등 대형 커뮤니티 시설로 짓는다.


자전거전용도로 및 보행자전용도로 등의 조성을 통해 녹색보행네트워크도 구축된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