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긴축 선진국으로 이전될 가능성 낮아
[아시아경제 김지은 기자] 글로벌 증시에 새로운 걱정거리가 생겼다.
인도가 G20 국가 중 호주에 이어 두번째로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글로벌 긴축 흐름에 대한 우려감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하지만 인도의 경우 여타 국가에 비해 인플레 압력이 지나치게 컸다는 점에서 인도의 금리인상 우려를 글로벌 각국과 연계시킬 필요는 없어보인다.
인도의 도매 물가 상승률은 지난 2월 9.89%를 기록해 16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해 9월 마이너스 물가 상승률에서 벗어난 이후 5개월만에 물가가 두자릿수에 육박한 것이다. 소비자 물가 역시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면서 2월에는 전년동월대비 16.2%의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인도는 여타 선진국과는 달리 무섭게 치솟는 인플레 압력에 대응해야 했고, 기습적인 금리인상 역시 이에 대한 조치 중 하나였다는 측면에서 긴축 분위기가 여타 국가로 이전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인도를 비롯한 이머징 국가들의 경우 경기부양을 위해 상대적으로 공격적인 통화정책을 추진해왔고,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경제구조를 갖고 있는 만큼 물가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 반면 미국을 비롯한 여타 선진국은 물가리스크를 우려할 상황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번 인도의 전격적인 금리인상은 중국 정부로 하여금 금리인상에 대한 부담감을 완화시킬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그렇다 하더라도 최근 중국증시에서 부동산 및 원자재 업종이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중국의 금리인상까지는 여전히 시간이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부동산 및 원자재 업종의 경우 긴축시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업종이기 때문이다.
키움증권은 최근 2월 미국 및 유로 등 주요국의 광의 통화 증가율이 반등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이는 국내 뿐 아니라 신흥 공업국의 외국인 매수세가 강화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라는 것. 글로벌 유동성 증가에 따라 위험자산의 선호현상은 더욱 강화될 수 있고, 국내 증시 역시 외국인의 추가 매수세를 기대할 만 하다는 얘기가 된다.
$pos="C";$title="";$txt="";$size="550,211,0";$no="2010032208265108994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여기에 유동성 장세의 바통을 실적장세가 이어갈 가능성은 고조되고 있다. 4월 중순 본격적인 어닝시즌을 앞두고 국내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는 프리 어닝시즌에 돌입한 가운데 국내 IT와 자동차 등 수출기업들을 중심으로 1분기 어닝시즌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높아지는 분위기다. 우리투자증권에 따르면 최근 1분기 국내기업들의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 1월 18조7000억원에서 3.8% 상향조정된 19조4000억원까지 증가했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1분기 사상 최대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외국인들이 이들 종목에 대해 매기를 집중시키고 있다는 측면에서 보면 유동성 장세의 바통을 실적장세가 확실히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의 긴축에 따른 불안감과 그리스의 재정 지원을 둘러싼 유로존의 갈등 등 여전히 대외환경은 변수가 많은 시점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들 변수가 국내증시의 상승 속도를 늦출지는 몰라도 방향을 꺾을만큼의 강한 힘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다우지수가 9거래일만에 하락세로 돌아섰지만 0.3% 하락에 그쳤다는 점도 이같은 변수들을 악재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쉬어가기 위한 핑계거리로 삼은 것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김지은 기자 je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