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연아레전드②]엄마 아빠가 본 김연아의 '강심장'


[아시아경제 조범자 기자]믿기 힘든 역전 드라마를 쓴 환희의 순간에도 그저 씩 웃을 뿐이다. 얼음 위를 날다 그만 엉덩방아를 찧어도 툭툭 털고 일어나 다시 도도하게 날아오른다.


2010 밴쿠버동계올림픽에서 마침내 금메달을 따낸 '피겨퀸' 김연아(20ㆍ고려대)의 '강심장'은 늘 화제가 됐다. 특히 24일 쇼트프로그램에서 바로 앞에서 경기한 아사다 마오(20ㆍ일본)가 트리플악셀(3바퀴 반 점프)을 성공시키며 완벽에 가까운 연기를 펼쳤음에도 전혀 흔들림이 없었다. 오히려 보란 듯이 세계신기록(78.50점)을 수립하며 전세계인을 놀라게 했다.

많은 이들은 김연아의 '강심장'이 없었다면 엄청난 부담감을 극복하고 금메달을 따내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김연아의 열혈팬들은 '대인배 김슨생'이라는 재미있는 별명도 붙여줬다. 조그만 것에 휘둘리지 않는 대범함을 지녔다는 의미다.


김연아의 '강심장'은 만들어진 것일까, 타고난 것일까. 사실 '골프 여왕' 박세리는 아버지 박준철씨의 냉혹한 훈련으로 단련된 것이라고 했다. 한밤 중에 공동묘지로 딸을 데리고 가서 샷 훈련을 하며 담력을 키워준 건 유명한 일화다. 김연아도 그렇게 만들어진 것일까.

어머니 박미희씨에게 물었다. 박세리에게 '골프 대디'가 있다면 김연아에겐 '피겨 맘' 박씨가 있다. 박씨는 "담력 훈련이란 걸 따로 해본 적이 없다. 그냥 연아는 그런 강심장을 타고난 것 같다"며 웃었다.


하지만 김연아의 아버지 김현석씨는 색다른 해석을 했다. "연아의 강심장은 현실을 직시하는 데서 온다"는 것이다.


김씨는 "연아라고 왜 안 떨리겠나. 하지만 자기 실력을 과신해서 목표를 높게 잡지도 않고, 그렇다고 지레 두려워하지도 않는다. 자기 실력이 100이면 딱 100만 믿고 가는 아이다. 그래서 긴장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연아에겐 자기 자신을 컨트롤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다. 내 딸이긴 하지만 그게 뭔지는 나도 잘 모른다"며 껄껄 웃었다. 그는 "허리부상 때문에 한참 고생했을 때도 연아의 기술도 기대하기 힘들었다. 하지만 딱 하나 믿는 구석이 있었다. 바로 연아의 '정신력'이었다"고 했다.


방상아 SBS 피겨스케이팅 해설위원은 "연아는 큰 무대에 강한 담대한 성격을 가졌다. 어느 무대에서나 대범하고, 어쩌다 실수를 했다고 해서 기죽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실력 차가 거의 없고 실수 하나에 순위가 오르락내리락하는 피겨 무대에서 연아의 침착함은 어떤 기술보다도 훌륭한 경쟁 무기가 될 수 있다"고 했다.


김연아가 시니어무대에 데뷔했을 때부터 그림자처럼 따라다녔던 구동회 IB스포츠 부사장은 "옆에서 보면 김연아의 성격에 깜짝깜짝 놀랄 때가 많다. 내가 보기엔 큰일인데도 툴툴 털어버리고, 속상한 일도 자고나면 금세 잊어버린다. 스스로도 자신의 성격에 만족한다고 하더라. 이런 대범한 성격이 그의 연기에 한 몫 하는 것같다"고 했다.


'강심장' 김연아. 그가 있기에 대한민국 국민은 2010년 2월26일, 최고로 가슴벅찬 하루를 맞았다.

조범자 기자 anju1015@asiae.co.kr
<ⓒ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