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스마트그리드구축시 전력소비 12%감축"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 미국이 2030년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완료하면 직접적인 전력소비및 탄소배출은 지금보다 12%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21일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미국의 대표적인 에너지연구기관인 PNNL이 발표한 '스마트그리드, 에너지 및 온실가스감축 전망'보고서는 2030년 미국에서 스마트그리드가 100% 확산된다고 가정할 경우, 스마트그리드 전력소비 및 탄소배출 감축효과는 경기변동이 없는 것을 전제로 한 기준시나리오대비 직접효과는 12%, 간접효과는 6%로 추정했다.

직접효과는 스마트그리드를 통해 직접 전력소비를 절감하고 탄소배출을 저감하는 효과이며 간접효과는 스마트그리드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와 같은 부가적인 수단을 활용함으로써 얻는 에너지절감비용분에 해당한다.


직접효과로는 ▲에너지사용정보에 대한 소비자피드백 ▲전기자동차 충전 지능화 ▲가정및 중소기업부문에 에너지사용진단 시스템 보급 등을 통해서가 각 각 3%로 가장 큰 절감효과를 거두게 된다. 이어 발전된 형태의 전압제어(2%), 에너지효율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측정 및 검증(1%) 등도 직접적 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효율적인 발전원이용확대와 풍력등 신재생에너지사용 증가는 0.1%미만의 낮은 효과로 추정됐다. 간접효과 가운데는 풍력 및 태양광발전 보급지원을 통한 효과가 5%로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됐다. 이같은 직간접 효과는 미국의 총 에너지소비와 이산화탄소배출량을 각 각 5%와 2% 감축하는 효과로 추산됐다.


보고서는 스마트그리드를 통한 효과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최우선 정책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소비자 이해도 향상, 스마트그리드 효과 정량화 등의 노력이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선 에너지효율 및 수요반응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서는 고객 피드백이 필수적이어서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소비자 이해도를 높여나가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그리드가 수요반응 프로그램, 재생가능한 자원, 저장기술 등과 결합해 효과를 내는 매커니즘을 심층 분석하고 그 효과를 정량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또한 송배전시스템 내에서 전력손실을 최소화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전압제어 등에 관한 연구와 전기자동차의 전기사용 최적화에 관한 연구는 보강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제시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