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형 M&A 루머에 운다

난데없는 인수설-워크아웃·3월 위기 '뜬소문'
대우건설·하이닉스 주가몸살...법적대응도


[아시아경제 구경민 기자] "워크아웃을 신청한다. 임직원들도 주식을 팔고 있다더라."

"한화가 GS와 합작으로 하이닉스를 인수한다더라."


주식시장이 루머로 몸살을 앓고 있다. 수급 불안정으로 시장의 체력이 크게 떨어진 가운데 대어급 인수합병(M&A) 작업까지 삐걱거리면서 근거없는 루머가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것.

M&A 지연으로 인수 주체가 바뀌는 헛소문까지 성행하면서 시장 질서를 크게 교란시키고 있다. 해당 기업들도 '뜬소문'에 대해 빠르게 대응하고 있지만 불씨는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지난 2일 한화그룹과 GS가 하이닉스를 인수한다는 소식에 관련주가가 곤두박질쳤다. 한화는 7% 가까이 떨어졌고, 하이닉스와 GS도 동반 하락했다. 주주관리협의회 주관기관인 외환은행이 하이닉스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을 12일까지 2주간 연장하겠다고 밝힌 것이 화근이 됐다. 이에 한화와 GS 양측은 하이닉스 인수설에 대해 "인수 계획이 없다"고 못 박았지만 낙폭을 만회하지 못했다.


3일 한화그룹과 GS그룹이 하이닉스반도체 인수설을 공식 부인하면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오전 10시 31분 현재 한화는 전일 대비 1700원(3.85%) 오른 4만5900원, GS는 650원(1.9%) 상승한 3만4850원을 기록중이다. 전날 양사가 하이닉스의 인수 후보에 올랐다는 소문이 증권가에 확산되면서 한화는 6.55%, GS는 1% 가량 빠졌었다.


연초에는 대우차판매가 갑작스러운 워크아웃설에 하한가로 떨어졌다. 1월6일 개장 직전 메신저로 워크아웃 얘기가 확산되며 기관들마저 투매로 내몰렸다. 회사측은 루머 진원지를 찾아 법적대응하겠다고 밝혔지만 상황을 되돌리진 못했다. 루머 유포 직전까지 1만원선에서 움직이던 대우차판매는 최근 7000원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남광토건도 지난달 말 불거진 '3월 위기설'에 곤욕을 치르는 중이다. "근거 없는 루머로 개인투자자의 불이익을 초래하고 회사 경영 및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묵과할 수 없다"며 법적대응하겠다고 밝혔지만 하락세를 진정시키진 못하고 있다. 1월 중순 8500원 수준이던 남광토건은 최근 6000원대 중반에 머물고 있다.


산업은행 주관으로 매각 추진을 진행 중인 대우건설은 지난달 14일 난데없는 25조원 규모의 요르단 원자로 프로젝트를 수주했다는 루머에 된통을 당했다. 이 루머는 장중 대우건설의 주가를 10%를 넘는 1600원까지 끌어올렸다가 불과 2시간여 만에 다시 제자리로 떨어뜨렸다.


코스닥 대장주인 서울반도체도 최근 루머에 속절없이 당했다. 지난달 19일 서울반도체 주가는 서울반도체 주식을 대량 보유한 모 자산운용사 임원이 사표를 썼다는 루머로 8.61% 빠졌다. 이 소문에 대해 해당 자산운용사 측이 사실무근이라고 밝혔지만 주가는 회복되지 못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투자심리가 위축될수록 각종 루머가 난무하게 된다며 루머의 경우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있어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루머의 대부분이 근거가 없거나 확정된 사항이 아닌 경우가 많다"며 "특히 M&A 관련 사항은 철저한 보안에 붙여지는 경우가 많고 수많은 변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뇌동매매를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구경민 기자 kk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