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바닷물에서 리튬 뽑는다.. 포스코 150억원 투입

국토부·지질자원연구원·포스코, 해양용존 리튬 추출기술 상용화 추진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바닷물에서 전기자동차의 이차전지 원료인 리튬을 추출하는 공장이 세워진다. 정부와 포스코는 이같은 공장을 만들기 위해 리튬 추출 원천기술을 상용화하는 연구를 2014년까지 실시한다.


국토해양부는 바닷물에서 리튬을 생산할 수 있는 실증플랜트 개발을 위한 상용화 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을 확정하고 2일 오후 3시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해양용존 리튬 추출기술 상용화 공동연구 개발사업 협정'을 체결했다.

리튬은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 휴대폰, 노트북PC 등과 같은 이동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이차전지 원료·차세대 핵융합 발전 원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략금속 자원이다.


하지만 육상에서 상업적으로 채광 가능한 물량이 410만톤 정도에 불과하고 향후 10년내 고갈이 우려된다. 또 칠레(300만톤), 중국(54만톤) 등 일부 국가에만 편중돼 있어 세계 각국이 치열한 리튬 확보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국토부는 이같은 리튬 자원 확보 경쟁에 우위를 점하기 위해 국가 연구개발사업으로 지난 2000년부터 '해양용존 자원 추출기술 개발(지질자원연구원 수행)'을 추진했고 지난해 5월 해수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이 기술은 일본이 30년간 개발해 온 유사기술에 비해 효율이 30%이상 높을 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또 이번 협정을 통해 국토부와 (주)포스코는 공동으로 총 300억원을 투자해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으로 리튬의 대량 생산을 위한 상용화 플랜트 공정과 설비를 확립할 계획이다.


상용화 작업은 올해부터 2014년까지 5년간 진행될 예정이며 올해 시험플랜트 제작에 들어가, 2011~2012년간 상용플랜트 핵심공정을 개발한다. 이어 2013~2014년간 연 10톤의 리튬 생산 규모의 상용화 실증플랜트 건설 및 일관공정 자동화 시스템 구축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리튬 10톤은 2차전지 원료에 사용되는 리튬 화합물인 '탄산리튬(Li2CO3)' 30톤 이상을 생산할 수 있다. 이에 국토부는 이번 프로젝트의 성공(2015년 이후)시 연간 2만~10만톤(탄산리튬 기준) 규모의 리튬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이 가동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국내 수요(2008년 기준 탄산리튬 5000톤 수입)를 충당함은 물론 향후 세계시장(2020년경 전세계 탄산리튬 수요 약 60만~200만톤 예상)을 선도할 수 있는 규모에 해당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리튬 추출 기술 상용화시 리튬 및 리튬 관련 제품의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리튬 원료 시장에서 추가적으로 연간 2억~10억달러(2008년 고순도 탄산리튬 가격인 톤당 1만달러 기준)의 수출도 가능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