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가을철 산불’ 크게 줄고 피해 적어

11월 1일~12월 15일 사이 건수 29%, 피해면적 77% 감소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전국의 ‘가을철 산불’이 줄어들었다.


산림청은 ‘가을철 산불조심기간(11월1일~12월15일)’ 중 일어난 산불은 예년보다 건수는 29%, 피해면적은 77% 줄었다고 16일 밝혔다.

이 때 25건의 산불이 일어나 6ha가 피해를 입었다.


원인별론 산에 오른 사람이 잘못해 일어난 불이 10건(2.7ha)으로 전체의 40%를 차지, 으뜸이었고 ▲논?밭두렁 소각 3건(0.5ha) ▲담뱃불 실화 2건(0.3ha) ▲쓰레기 소각 3건(0.2ha) ▲기타 7건(2.6ha)이다.

지역별론 영남지역 18건(72%), 강원지역 4건(16%), 인천지역 2건(8%), 충북지역 1건(4%)순으로 집계됐다.


산림청 관계자는 “가을철 산불을 막기 위해 입산통제(5200곳), 등산로 폐쇄(2130곳)는 물론 숲 부근 농경지 농산쓰레기, 폐비닐을 거둬들이는 ‘산림 인화물질 처리반’을 운영했다”고 말했다.


산불감시 CC(폐쇄회로)TV 영상통합관리시스템도 갖춰 산불 조기발견 및 상황관리체계를 운영해 성과를 얻었다. 특히 산불위험지역엔 유급감시원, 산불전문예방진화대 등 3만2000명의 감시원을 지난 10월부터 배치, 산불예방 활동을 강화했다.


그는 “산불의 초기진화를 위해 헬기 46대를 전국 9곳에 배치·운영, 산불 때 30분 안에 현장에 갈 수 있게 했다”면서 “바닷물을 산불진화용수로 쓰기 위해 동해안지역 산림항공관리소의 초대형 헬기에 씨 스노클을 달아 시연하는 등 대비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중(11월 23일) 영암산림항공관리소 소속 대형헬기가 산불진화 훈련 중 영암호에 떨어져 조종사 3명이 숨지는 사고가 일어나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김남균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올 가을철은 강수량 증가, 산불대응력 보강으로 산불이 줄었으나 지구온난화로 산불위험은 매년 높아질 전망이어서 산불방지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