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김종창 "채권 공매도 허용 등 시장 발전에 노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2초

[아시아경제 황상욱 기자] 김종창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채권시장을 더욱 선진화하기 위해 시장의 투명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도록 할 것"이라며 "외국인의 참여 확대, RP거래 및 채권공매도 등에 대한 제도 개선, 새로운 전자매매수단 개발·이용, 아시아 역내 채권시장 육성 등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20일 서울파이낸셜포럼이 주최한 '아시아채권중심지로 발전하기 위한 채권시장 활성화 방안' 컨퍼런스에 참석한 김 원장은 '채권시장의 변화와 과제'라는 주제의 오찬 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히며 채권시장의 발전에 대해 더욱 노력할 것임을 내비쳤다.

특히 이 자리에서 김 원장은 "외국인 투자자들은 해외에서 채권투자 시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환매조건부채권(RP) 거래 및 채권공매도 등에 대해 제도 개선을 건의하고 있다"면서 "현재 RP 거래 활성화 방안은 정부의 단기금융시장 태스크포스(TF)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으며, 그동안 은행의 리스크 관리 강화차원에서 금지해 왔던 채권공매도도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허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내년 상반기 중 금융투자협회 호가집중시스템을 개선하고 사설 메신저를 통한 거래가 투명성, 안정성 등에 있어 여러 가지 불안요소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단점을 보완한 새로운 전자매매수단을 개발·이용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거래소의 채권매매시스템을 개선해 채권 시장에서도 주식시장과 같이 협의 대량매매제도도 도입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김 원장은 "외국인들의 시장참여가 증가하면 대체거래 시스템(ATS)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감독당국은 시장의 수요를 반영해 ATS 도입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등 채권시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의지를 피력했다.


한편 김 원장은 그동안 정부와 시장 참여자들의 노력에 대해서도 감사의 뜻을 전하며 앞으로의 노력을 당부했다.


그는 "채권시장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제도 개선을 추진, 외환위기 이후 질적·양적측면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다"며 "가장 큰 패러다임의 변화는 채권시가평가 제도의 도입"이라고 강조했다.


채권 시가평가에 따라 채권투자 펀드를 저축상품에서 투자상품으로 인식하게 됐고 자산운용회사의 부실화 및 변칙적인 자산운용 가능성이 차단되는 등 자산운용시장의 선진화에도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국채전문딜러제도 도입에 대해서도 언급했으며 채권시장 발전을 위해 신용평가제도, 동시 결제제도 등 시장 인프라의 개선이 이뤄졌다면서 국채선물의 도입, ABS 발행허용 등 다양한 상품이 시장에 공급돼 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기업의 자금조달을 촉진했다고 전했다.


그 결과 올해 채권거래량이 지난 1997년에 비해 20배 이상 증가한 25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고 전체 채권발행 잔고는 97년에 비해 약 5배가 증가, 1200조원에 달해 세계 10위 수준에 올랐다고 자평했다.


끝으로 그는 "아시아 채권시장 발전을 위한 협력도 강화하는 등 우리 정부는 역내 채권시장의 발전방안을 수립하는데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면서 "채권시장 발전이라는 과제에 대해 전문가들의 좋은 방안이 제시되기를 바란다"며 연설을 마쳤다.

황상욱 기자 ooc@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황상욱 기자 ooc@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