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내연구자 26%, 국외 학술지 논문심사 불이익 경험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국내 연구자 4명 중 1명이 국제적인 학술지의 논문심사 과정에서 영어 사용이나 국적 때문에 불이익을 경험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는 전국의 생물학 관련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논문작성과 제출에 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26%의 응답자가 국외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했을 때 불이익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주된 이유로는 영어 사용 미숙으로 인한 언어적인 문제(34%)가 꼽혔으며 한국 국적으로 인해 불이익을 받았다는 응답도 17%로 나타났다.


또한 2006년 황우석 박사 사건 이후 연구윤리 확보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면서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 연구윤리의 세부적인 가이드라인에 대해서는 충분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복 게재 등에 대한 기준에서는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대답이 많았다.

BRIC에 따르면 응답자 중 77%가 인용과 표절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있다고 답했으나 특별히 참고하는 가이드라인이 없이 소속연구실의 기존 논문의 예를 참고한다고 응답한 비율도 52%로 조사됐다.


또 '저자자격(authorship)'에 대한 기준에 대해서는 참여자 중 41%가 '잘 모른다'고 답했다.


BRIC에 따르면 이는 연구윤리 기준에 대한 자료들이 여러 기관을 통해 제공되고 있으나 주변 연구자나 기존 논문의 선례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동일한 연구결과에 대해 형식이 다른 학술자료들의 출판, 2차출판 및 중복출판 등에 대한 허용범위 또는 관련규정에 대해서는 '모른다'는 응답이 55%로 나타나 연구자들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홍보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BRIC의 설문에는 논문작성 경험이 있는 생물학관련 연구자 633명이 참여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